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는 암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 사람을 쥐로 만들면 된다.” 암유전학 분야 대가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rt 3. 암 치료, 두 가지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작동하게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고안했다.최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신경세포를 모방한 소자를 만들었다. 탄소나노튜브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수준인데 강도는 강철보다 세다. 게다가 구리보다 전기를 잘 전달한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고밀도로 집적해도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회조류와 같은 조류가 발생했다. 산소호흡을 하는 생물이 등장하고, 단세포 생물이 다세포 생물로 진화해 수십 m의 육상식물과 공룡처럼 거대한 생물이 등장했다.윤환수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회조류가 실제로 남세균과 많은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 이를 증명했다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특화돼 있습니다. 유전체학 외에도 시스템 생물학, 생물정보학, 발생생물학, 암 관련 줄기세포 등을 연구합니다. 하나의 분야 안에서도 연구 스펙트럼은 굉장히 넓다고 해요. 같은 시스템 생물학을 연구하더라도 효모, 대장균, 예쁜꼬마선충, 심지어는 로봇을 이용해서 다양하게 실험을 합니다.CRG는 ...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특징이다. 김균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마우스 모델과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HBV가 어떻게 사람의 면역 기능을 회피해 만성 질병으로 남는지를 밝혔다.연구팀은 단백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해 인터페론에 의해 유도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 중에서 HBV 때문에 유도가 저해되는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상 건조 상태를 유지해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 그룹을 찾아 학술지 ‘분자세포’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물곰이 완전히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합성되는 단백질에 ‘불규칙한 단백질그룹(TDPs)’이라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3차원의 ...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혈액 속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를 개발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중앙대와 경희대 공동 연구팀은 표면에 나노 두께의 얇은 박막을 코팅하면 혈액 안 ... “나노박막은 어느 줄기세포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면역질환, 뇌졸중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모펫 교수와 그레이엄 버튼 영양막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궁내막 조직에서 세포를 채취해 배양했다. 배양접시에서 살아 있는 자궁내막 조직을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이 오가노이드를 여러 달 동안 배양하면서 몸속에 있는 실제 자궁내막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는 유전자 체계를 만들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왜 숙주세포의 유전체계를 그대로 쓰지 않고 자신만의 번역 시스템을 만들었을까. 이 교수는 숙주의 시스템에 적응하는 시간을 절약해 바이러스 자신의 번식 속도를 높이기 위함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 했다. 거대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 결과, 코팅처리를 하지 않은 이파리보다 세포가 더 잘 붙을 뿐만 아니라 의도한 세포가 먼저 조직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doi:10.1002/adhm.201601225).연구팀은 현재 생체적합성 연구 외에도 식물 잎을 자유자재로 조직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잎을 쌓은 뒤, 일부 잎은 혈류를 전달하고 나머지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