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과학의 달엔 사이언스 크래프트로 놀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이언스크래프트의 첫 번째 시리즈로 ‘우리 몸 탐험 지도’가 나왔어요. 바이러스, 세포, 우리의 몸, 뇌에 대한 과학 이야기들을 종이 입체 모형을 만들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지요. 칼이나 가위가 필요 없이 풀칠만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이어서 나올 ... ...
- [과학뉴스]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왔다. 하지만 설치류는 사람과 생리학적으로 매우 다르다. 그런데 최근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이승은, 박세필 교수팀이 사람과 거의 비슷한 생리학적 구조를 가진 동물인 돼지가 이 유전자들을 갖고 태어나도록 만든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이미 이전에 제약 전문업체인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분석하는 방법이다.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세포에 생긴 종양으로, 멜라닌 세포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어디에나 발생할 수 있으며 점처럼 보인다. 일반적인 점의 경우 부드럽고 일관된 모양이지만, 악성 흑색종의 경우 들쭉날쭉하고 불규칙한 윤곽에 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대량의 칼슘이 유입되면 꼬리가 아래를 치면서 움직이게 됩니다. 미국 UC버클리 분자및세포생물학과 폴리나 리시코 교수팀은 뇌공등(Tripterygium wilfordii )이라는 식물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인 ‘프리스티메린’과, 민들레 뿌리와 망고 등에 들어있는 ‘루페올’이 프로게스테론과 ABHD2의 결합을 막아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는 수백만 년 전 장내구균이 건조함에 내성을 갖게 될 때와 항생제가 그들의 세포벽을 공격할 때 어떤 유전자를 얻었는지 알게 됐다”며 “이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02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 완치,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필라그린과 아토피 피부염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밝혀냈다.연구팀은 살아 있는 피부세포를 쌓아 인공피부를 만들었다. 인공피부 표면에서 필라그린을 없애자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나타났다. 자세히 분석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처럼 KLK7 유전자가 과다하게 발현돼 있었다. 연구팀은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박 교수는 “대장 조직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죽염이 발암 과정을 억제하고(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특히 한국산 천일염의 경우 정제염과 달리 마그네슘과 칼륨 등의 미네랄이 들어있고, 해외에서 생산한 천일염에 비해서도 그 양이 많다. 한국산 천일염을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항생제 남용 말아야새로운 항생제 개발도 쉽지 않다. 세균의 DNA 합성, 단백질 합성, 세포벽 합성을 동시에 다 막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발견하면 세균과의 싸움에서 장시간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겠지만, 이런 물질은 발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물질을 찾아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을 밝히기까지 ... ...
-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온몸의 털이 하얗게 셌다.연구팀은 정상적인 신체에서는 KROX20 단백질이 생겨나 여러 줄기세포인자를 만들며, 멜라닌 색소와 상호작용해 검은 머리카락을 자라게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나이가 들면서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들 재료는 모두 나무에서 왔다. 바로 나노셀룰로오스다. 나노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나노(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분해한 천연 고분자다.“2000년대 중반에 전세계 제지업계가 앞으로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지 활발하게 논의했어요. 동시에 친환경 바이오 소재와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