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눈치 채지 못했다. 슬럼프를 알아차렸을 땐 이미 오랜 시간이 흐른 뒤였다. 더 이상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없었다. 이 일을 계속할 수 없다는 의미였다. 노래를 못 쓰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 내 마음은 조급해졌다. 가사 한 줄 못 적고 잠드는 날은 아무런 의미도 없이 버리는 하루였다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판단한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침출수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현재 침출수 무방류 시스템을 통해 침출수를 전량 자체순환시키고 재이용해 주변 지역 환경오염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무방류 시스템이 ... ...
[기획] 도시와 공존하는 폐기물 처리 기술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처리시설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이 예상되는 이유다.전문가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유 부원장은 폐기물을 자원으로 다시 순환시키기 위한 기술을 꼽았다. 어떻게 하면 폐기물에서 자원을 최대한 뽑아내고 안정화해서 꼭 필요한 폐기물만 매립할지 ...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어흥~,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기 독립 만세!Part2.
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Part3. 생물주권 때문이야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위해서라면 깜깜한 바닷속에 들어가는 것이 무서워도 그 속으로 들어가요. 그리고
새로운
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생물자원을 찾아가는 원동력이 된답니다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넣어둔 결과, 6개월 만에 그 집단의 사투리를 배웠거든요. 집단을 다스리던 여왕이 죽고
새로운
여왕이 나타나자 집단에서 쓰든 언어도 달라졌고요.연구를 이끈 게리 르윈 연구원은 “사투리를 사용해 소속감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앞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어떻게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사람들이 구분하는 다양한 속성의 경계에 있는, 그동안 다르다고 생각했던 것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작업에 매력을 느껴 이 같은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장 작가는 우연한 계기로 뉴락과 만났다.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주제로 한 미술 작업을 위해 2016년 울산의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직소 퍼즐에 비유하면 퍼즐 한 조각의 크기를 키우고, 이런 조각들끼리 연결해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찾아낸 것이다. 기존에는 염기서열을 약 150염기쌍 길이로 잘게 잘라 한꺼번에 조립했는데, 고등 척추동물의 유전체는 반복서열의 비율이 30~60% 정도로 높아 정확도가 떨어졌다.기술 개발을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살고 있다. 과학 뉴스도 다르지 않다. 태양전지의 효율은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새로운
약이 곧 개발된다는 뉴스가 범람한다. 쏟아지는 소식들 속에서 진짜 독자들에게 알려줘야 할 원석을 찾기란 쉽지 않다.이 책 속에서 지난 1년간 우리를 스쳐 간 과학 이슈 중 꼭 기억할 원석을 확인할 수 있다. ... ...
기계학습, 너는 어떻게 학습하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추론하는 기계학습법을 ‘비지도형 기계학습’이라고 해요. 이것은 기존에 알지 못한
새로운
특징을 추출하거나 서로 관련이 높은 그룹끼리 분류하는 데 많이 쓰입니다. 기계학습이 받아들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행렬’과 ‘벡터’라는 개념이 쓰입니다. 행렬과 벡터를 주로 다루는 학문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