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는 왕성한 연구 비결에 대해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다”고 말했죠. 여러분도 다른 사람과 함께 의견을 나누며 공부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국토지질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수심이 얕은 지역은 탄성파로 분석할 수 없고
새로운
퇴적물의 유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과거의 흔적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한반도와 일본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은 마지막 빙기 황해 지역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지역이다. 최대 수심 150~200m인 ... ...
[한페이지 뉴스] 콩으로 만든 ‘비건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100% 천연 식물성 단백질로 이뤄진 섬유가 개발됐다. 거미줄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섬유로 일회용 플라스틱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영국 케임브리 ... “식물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만든 필름은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해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특집] 생물주권 때문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위해서라면 깜깜한 바닷속에 들어가는 것이 무서워도 그 속으로 들어가요. 그리고
새로운
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생물자원을 찾아가는 원동력이 된답니다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넣어둔 결과, 6개월 만에 그 집단의 사투리를 배웠거든요. 집단을 다스리던 여왕이 죽고
새로운
여왕이 나타나자 집단에서 쓰든 언어도 달라졌고요.연구를 이끈 게리 르윈 연구원은 “사투리를 사용해 소속감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어 “앞으로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어떻게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직소 퍼즐에 비유하면 퍼즐 한 조각의 크기를 키우고, 이런 조각들끼리 연결해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찾아낸 것이다. 기존에는 염기서열을 약 150염기쌍 길이로 잘게 잘라 한꺼번에 조립했는데, 고등 척추동물의 유전체는 반복서열의 비율이 30~60% 정도로 높아 정확도가 떨어졌다.기술 개발을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뒤집고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속 단백질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새로운
분자생물학 기법을 제안해 주목 받았습니다. DNA를 접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 1990년대만 해도 과학자들은 사람의 DNA 염기서열을 알아내면 생명의 모든 비밀을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눈치 채지 못했다. 슬럼프를 알아차렸을 땐 이미 오랜 시간이 흐른 뒤였다. 더 이상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없었다. 이 일을 계속할 수 없다는 의미였다. 노래를 못 쓰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 내 마음은 조급해졌다. 가사 한 줄 못 적고 잠드는 날은 아무런 의미도 없이 버리는 하루였다 ... ...
기계학습으로 본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많이 기어 다니다가 어느새 걸음마를 익히게 되잖아. 아이폴리도 기계학습을 통해
새로운
규칙을 익히며 성장해 나갈 거야! 기계학습은 컴퓨터나 기계가 규칙을 스스로 익히고 정확한 결과를 내도록 개선하는 알고리듬으로, 인공지능의 한 종류입니다. 기계학습 알고리듬은 주어진 데이터를 ... ...
[매스크래프트] 혼잡도와 수송력으로 지옥철 탈출!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높습니다. 그래서 매번 속으로 ‘다른 노선 하나만 더 개통돼라!’라고 빌곤 했죠.
새로운
노선을 개통하기 위해서 따지는 요소 중 하나가 한 시간 동안 몇 명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송력입니다. 수송력은 ‘열차의 칸 수×열차 1칸의 정원×혼잡도(%)×시간당 운행 횟수’로 구해요.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