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북"(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한편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 남극 빙하뿐만 아니라 북극 빙하도 녹는 것이 자연의 이치다. 그러나 지구온난화의 피해로 남극의 빙하를 주로 들먹이는 것은 남극 빙하는 대부분 대륙위에 있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에 보다 빠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지구온난화와 ...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전자비서(그림2)와 (그림3)은 달력 형식으로 만든 두가지 샘플이다. 하나는 동서남북 사신도라는 그림을 집어넣으며, 달력의 숫자 아래 바로 메모를 할 수 있는 칸을 만들었다. 다른 하나는 숫자로만 멋을 부린 것인데, 맨 아래 부분에 따로 메모칸을 만들어 가족 대소사는 물론 개인의 할 일을 미리 ...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설을 따른다면 멜라닌 세포도 오랜 기간 동안 환경에 적응하면서 변해왔기 때문에 북반구에는 흰피부의 사람들이, 적도 부근에는 검은 피부의 사람들이 사는 것 같다.6. 나도 피부다 / 머리카락, 손톱, 발톱곱슬머리와 곧은머리의 차이머리카락은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태생학적으로 표피층이 ... ...
- 오호츠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5년 10호
- 더없이 좋은 먹이로 산란과 번식에 안성맞춤이었다. 18일, 우리는 레일칸차 계곡 북쪽 빌칸자 지역으로 거슬러 올라갔다. 가는 길에 곰 발자국이 나타나 한때 긴장하기도 했지만, 두려움도 잠시 뿐이었다.3일에 걸친 툰드라 지역 탐사로부터 많은 것을 보고 카메라에 담았지만 아쉬움을 남긴 채 ... ...
- 북반구 삼림, 탄소 흡수율 높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농도가 높아져 나무 성장 속도가 빨라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아무튼 북반구 국가들이 나무를 많이 심을수록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출 수 있는 한가지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 ...
- 별탄생의 요람 전파은하 추적과학동아 l1995년 10호
- 밝기는 5.5등급. 현재 1995 Q1은 태양 가까이 있지만 점차 어두워지면서 북반구 하늘로 북상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1995 Q2(최근에 하틀리-드링크워터로 명명)는 겉보기 크기가 크며 어둡고, 혜성 전체가 퍼져있어서 관측하기에는 쉽지 않은 대상이다. 1995 Q1, 1995 Q2를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 ...
- 토성의 새 위성 4형제과학동아 l1995년 09호
- 현재의 궤도요소 예측에 의하면 헤일-밥은 1997년 4월 근일점을 통과하며 4월 내내 북반구 하늘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밝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이 혜성이 현재 폭발을 일으키고 있을 경우 예상되는 것만큼 밝지 않을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현재의 ... ...
- 지구과학- 즉석 나침반 만들기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생기는 각을 이등분해야 합니다.이 시계나침반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질까요?지구 북반구에서 볼 때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남쪽하늘을 거쳐 서쪽으로 집니다. 따라서 우리가 남쪽을 바라보고 서서 태양과 시침이 움직이는 방향을 살펴보면,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은 시침이 돌아가는 방향과 같게 ...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출현기간은 7월14일-8월18일이다. 7월29일 시간당 평균 출현 개수는 15-20개에 이른다. 북쪽 유성우는 7월16일-9월10일에 나타나며 8월13일이 극대일. 이때 시간당 평균 출현개수는 10개다 ... ...
- 별 탄생의 순간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모습을 보이고 있고 판도라는 엔셀라두스 바로 왼쪽에 있지만 구별이 되지 않는다. 한편 북반구의 적도대 바로 왼쪽 위에 보이는 타원 모양은 이 행성의 국부적인 대기순환 현상을 보여준다.[아래] 이 사진은 위 사진보다 96분(HST가 지구를 한번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 후에 촬영한 것이다. 테는 10%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