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의거해서 A 펭크와 E 브루크너가 설정한 약 50만~60만 년 전의 세계적인 빙기 알프스
북
록(北麓)의 다뉴브강 유역에는 물에 의해 운반되어 퇴적된 역층(礫層)이 신구(新舊)에 따라 높이와 지형의 보전이 다른 단구(段丘)를 형성하고 있다역층은 상류일수록 빙하퇴적으로 연속되어 이들 단구가 빙하기에 ... ...
1. '화성 생명체' 둘러싼 5가지 쟁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특징지워지지만, 30억년 전의 화성은 지구와 비슷한 기온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북
반구는 거대한 바다로 둘러싸여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원시생명체는 어느 정도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지구의 예를 들자면 35억년 전에 박테리아 수준의 원시생명체가 탄생하고, 이들이 진화해 10억년 ... ...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같은 이름의 태풍으로 피해받고 싶지 않아 태풍 이름을 변경하라고 요구한다. 그러면
북
태평양 연안 국가들이 협의해 그 태풍 이름을 없애고 새로운 이름을 설정한다. 7. 인간에게 어떤 도움을 줄까 - 때 잘맞추면 가뭄에 단비 내리는 효자보통 태풍의 에너지는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1 ... ...
날로 심각해지는 오존구멍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올해 봄
북
반구의 오존구멍이 최악이라고 기록된 지상 관측과 일치한다.기상학자들은
북
극 성층권의 온도가 갑자기 떨어져 구름이 많이 생성됐고, 이 구름이 CFC와 오존의 반응을 더욱 가속화시켜 오존량이 감소된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성층권 온도가 갑자기 내려가는 이유는 불분명하다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야심에서였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기상학자인 로렌츠에 의해 여지없이 무너졌다.
북
경에서 나비 한 마리가 공기를 살랑거리면 다음달 뉴욕에서는 폭풍이 일 수 있다. 카오스를 설명할 때가장 잘 등장하는 '나비효과'다. 조그만 초기조건의 변화만 있어도 예측할 수 없는 엄청난 변화가 일어난다는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들지 않을 것이다.이 무렵의 혜성은 엷고 흐린 코마(혜성의 머리부분)가 크게 보이고
북
쪽하늘 위로 뻗어있는 꼬리는 육안으로 겨우 식별된다. 혜성의 꼬리는 점차 발달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리 크지 않다. 꼬리는 약 5도 정도의 길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햐쿠다케혜성의 꼬리를 보려면 4월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날씨를 묻는 법, 배고픔과 목마름을 표현하는 법 등을 가르쳐준다. 브로더번드에서 리빙
북
시리즈로 나온 '세우스박사의 ABC'(Dr.SEUSE'S ABC)는 영어의 말과 글 중 기본이 되는 26개 알파벳으로 시작되는 단어와 문장을 유머러스한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을 사용해 보여준다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년 영국의 새클톤이 로스섬에 도착한 후 처음있는 일이었다.남극에는 에레부스산 말고도
북
빅토리아랜드에 있는 맬버른산(2천5백37m), 디셉션섬에 있는 실누나타크산 등에서 화산이 폭발하고 있다. 디셉션섬에서는 여러차례 화산이 폭발해 영국기지와 칠레기지가 녹아내린 물로 파손된 일이 있다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바닷물 등 투명한 창살에 갇혀서 지내야 하는 생활의 연속이다. 아는 얼굴들은 멀리
북
반구에 있고 돌무더기 위를 스쳐와서 해변을 싸안는 바람소리는 마음을 찢고 피부를 조여온다. 이렇게 쳇바퀴같은 생활 속에서 ‘잊혀져 살고 있다’ 는 느낌이 들고 인근 기지와의 통신과 간헐적인 왕래마저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탐사구가 진입한 지점(화살표)은 1백10m/초의 속도로 강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이에 반해
북
쪽 백반쪽은 6m/초의 속도로 느리게 움직였다. 오른쪽 이미지는 10월 4일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한 진입예정 지점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구름들을 볼 수 있다.(사진/Rate Beebe)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