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게 쉬울 거예요. 내가 있는 곳으로 택시를 부를 때에도 편리하고요.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장소나 추억이 담긴 여행지를 기억할 때도 사용할 수 있어요. 지구를 57조 개로 나누고 세 단어 붙였어요그렇다면 세 단어 주소는 어떻게 매겨지는 걸까요? 먼저 세계지도를 가로 3m, 세로 3m의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너무 크고 실제 어린이들 뛰는 발소리와도 차이가 크지요. 대안으로 나온 방법이 임팩트
볼
이에요. 2.5kg 고무 재질의 공을 반복하여 떨어뜨리는 거예요. 뱅 머신에 비해 충격력이 작고(약 1600N), 어린이들이 뛸 때의 충격력(1000~3000N)과 유사해 새로운 측정 방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랍니다. 어린이 뜀이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좋겠어요. 동물사를 개선하는 건 보람찬 일이에요. 동물들의 표정이 밝아지는 모습을
볼
수 있거든요.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동물원수족관법 : ‘동물원 및 수족관 관리에 관한 법률’의 준말 ... ...
예술이 된 우주 / 이달의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068’을 찍은 사진을 공개했어요. SOFIA는 기존의 가시광선 망원경과 전파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던 자기장을 원적외선으로 찍었지요. 사진 속 나선팔은 전체 길이가 2만 4000광년으로 엄청난 규모예요.SOFIA 과학센터 로페즈 로드리그 연구원은 “각 별들이 타원궤도로 공전하며 분포가 달라지는데 이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한다”며 “새로운 규칙이 통용되는 세상의 존재를 아는 것만으로도 세상을 달리 바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과학 소통을 해오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고 싶은 과학자의 입장에서 KAIST는 어떻게 변했으면 좋겠는지 물었다. 정 교수는 “대학이 파격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3 ... ...
[그래프뉴스] 에취~! 오늘의 꽃가루 농도 확인하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봄꽃이 진 뒤에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꽃가루가 더 많아집니다. 꽃가루는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이나 결막염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해요. 기상청은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 어떻게 다른지 알려주는 ‘꽃가루 달력’은 국립기상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어요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식을 때의 냉각 속도를 알아내서 어떻게 유해의 뇌가 유리 상태로 변했는지 자세히 알아
볼
예정이에요. 그리고 유해의 세포를 통해 유전자 분석을 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던질 수 있는데요,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서로 다른 차원에 반응하는 고유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죠. 이때 질문과 답은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숫자와 연산으로 나타내야 합니다.여기서 각 차원에서의 정보를 의미하는 숫자들은 행과 열을 따라 사각형 형태로 배열하는 행렬을 사용해 나타냅니다.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전력을 사용할 때 최대 4만 6000원 오르는 수준으로 상승폭을 제한했습니다. 고지서
볼
때마다 기후환경을 생각하자!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제가 어렸을 때 부모님께 들었던 핀잔처럼 자원과 기후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방향으로 전기요금 고지서 기록 방식이 바뀐 점이에요. 전 세계적으로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거예요. 각도가 작으면 두 벡터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고, 각도가 크면 관련이 적다고
볼
수 있죠. 이런 방식으로 발언의 유사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겁니다. 이처럼 강 교수님은 행렬을 비롯해 여러 수학 지식을 활용해 연구합니다. 청소년에 대한 관심도 많아서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중학생의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