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좁은 틈을 통과할 땐 몸이 고되지만, 멋진 동굴을 보면 이 아름다운 광경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선택받은 사람이라는 생각에 너무도 뿌듯했어요. 몇 년 전부터는 세계자연유산 후보 지역을 현장 심사하기 위해 해외를 답사하고 있답니다. 국제기구인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은 세계 최고의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건전지, 전기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못한답니다. 귤로 전기를 만들 수 있다고?‘토이트론 키친사이언스’는 주방에서 볼 수 있는 재료로 과학실험을 할 수 있는 키트예요. 식초와 베이킹소다로 만드는 로켓, 세제와 베이킹소다로 만드는 화산, 설탕으로 사탕 만들기, 녹말가루로 지문 찾기, 포도 주스로 비밀 편지 쓰기, 과일로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얼굴을 인식하는 인공지능 도어락!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인공지능을 학습시킬 거예요. 그다음, 블록을 쌓아 인공지능이 우리 가족의 얼굴을 알아볼 때에만 도어락을 열도록 만들 거랍니다. ● 실전코딩 준비하기 : 사진을 학습시켜 모델을 만들어라!● 실전 코딩 따라하기 : 가족 얼굴을 인식하는 도어락을 만들어라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설명할게. 나는 모두 처음 보는 것들이지만 너희들은 익숙할 물체들로 한번 살펴볼게! 여기 사람들이 과일과 채소라고 부르는 물체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원하는 물체만 골라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그 물체의 특성을 생각해보고 차례대로 솎아내는 방법을 사용할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안녕하세요! 2021년 우주 날씨를 소개하는 이재형 과학동아천문대장입니다. 신나는 설날이 있는 2월의 우주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매년 설 즈음은 달이 뜨지 않아서 겨울 ... 해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올해의 가장 큰 보름달은 정월 대보름이 아닌 4월 27일에 볼 수 있답니다 ... ...
- [수학체험실] 퍼즐인 듯 퍼즐 아닌 퍼즐 같은 너~ 아르키메데스 퍼즐, 스토마키온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알 수 없다. 다만 지금까지 나온 연구 결과를 보면 스토마키온을 두 가지 퍼즐로 볼 수 있다.하나는 7개의 조각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전통놀이인 칠교놀이처럼 14개의 조각으로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게임이고, 다른 하나는 퍼즐의 기본형태인 정사각형에서 조각들을 재배열해 새로운 조합으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더 좋아하나요?대다수 학생은 문제 푸는 것을 평소에 많이 하지만 문제를 내는 건 해볼 기회가 없잖아요. 저는 남들이 하지 못하는 특별한 경험을 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해서 문제 내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문제를 낼 때는 배운 개념이나 이론을 응용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이나 창의력까지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다.분자를 조절해 소재의 특성을 바꾸는 연구는 기존 신소재 공학 연구에서는 흔히 볼 수 없던 연구다. 연구실의 이원범 연구원은 “고분자 소재가 나타내는 현상 자체에만 집중해 완성된 고분자를 연구하기보다, 고분자의 특성을 분자 수준에서 조절하는 연구에 매력을 느껴 강 교수 연구실을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얼굴 근육 움직임을 통합적으로 분석해 아주 짧은 시간에 감정을 알아차린다. 표정을 볼 때 성인들은 코나 입보다 눈을 먼저 보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고, 문화권마다 달라서 서양에서는 입을, 동양에서는 눈을 특히 중요하게 본다는 주장도 있다(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인들은 ^^ ... ...
- 수학과 손 JOB아야 일할 수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가져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수학용어 따라잡기백분율 │ 전체를 100으로 볼 때 생각하는 양이 몇인지 비율로 나타내는 방법이에요. ‘%(퍼센트)’라는 기호를 사용해 표시해요. 전체 중에 얼마인지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분수는 백분율로 바꿀 수 있어요. 분수 12은 50/100과 같기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