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캐릭터의 움직임을 코딩 할 때는 대부분 수학이나 물리 공식을 활용해야 해서 수학과 물리 공부를 강조한 겁니다. “제가 여러분 나이로 돌아갈 수 있다면요? 지금은 간단하게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툴이 많으니 이런 걸 많이 접해볼 것 같아요.” 개발자의 강연을 끝으로 게임카페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나온다는 사실을 자신이 설계한 원자로에서 실험을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 그는 물리학계에서도 아주 드물게 이론과 실험을 모두 ‘넘사벽’ 수준으로 할 수 있었던 인물이다. 위대한 과학자인 그도 이면에는 고향인 이탈리아를 떠나 미국 땅에서 원자폭탄 제작에 개입하기까지 파란만장한 일생을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말했다. 실제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선택하는 복수전공, 부전공은 수학, 물리학 등 이공계열부터 경영학, 언어학 등 인문학과 사회학까지 폭넓다. 이 씨는 “좋은 대학에 입학하는 게 끝이 아니다”라며 “대학에 입학한 뒤에도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아 좌절하고 힘들어하기도 하는 만큼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학이 너무 재밌는 거예요. 그제서야 알았어요. 물리를 잘 하는 줄 알았는데 사실은 물리에서 나오는 수학 문제를 잘 푸는 거고, 그걸 즐긴다는 걸요. Q 수학의 어떤 부분이 매력적이었나요?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보면 수학자 존 내시가 숫자로 가득한 암호판 앞에 서서 별다른 도구 없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과학자들이 좀비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건 사실이랍니다. 2017년 1월, 영국 레스터대학교 물리천문학과 머빈 로이 교수는 같은 과 학생들과 함께 좀비 바이러스가 얼마나 빨리 퍼질지 연구했어요. 좀비에게 물렸을 경우 90% 확률로 좀비가 되며 좀비 한 명당 하루에 한 사람씩을 찾아낸다는 것을 전제로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있듯 과일 음료다. 과일 음료는 크게 과·채즙(과일이나 채소를 압착, 분쇄, 착즙 등으로 물리적 가공을 해서 얻음) 함량에 따라서 과채주스, 과채음료, 혼합음료로 나뉜다. 과·채즙 함량이 95% 이상인 음료는 과채주스에 해당된다. 가장 높은 비율의 과·채즙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과일 100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가린 우주인 훈련센터(GCTC·Gagarin Cosmonaut Training Center)가 있다. GCTC에서 보낸 1년은 물리적으로 짧지만 강렬한 추억으로 남아있다. 매년 눈 내리는 계절이 오면 2007년 별의 도시가 생각나고, GCTC에서 함께 훈련받던 사람들 얼굴이 하나둘씩 떠오른다. 2018년 여름, 나는 그토록 그리워하던 별의 도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Q 자기소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이론 천체 물리학을 공부한 요하네스 쇤케입니다. 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응용 수학 및 기계공학을 전공한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와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설계했죠. 저희 팀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과학계의 숨은 영웅을 매일 발굴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의 젊은 물리학자 제스 웨이드다. 그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유색인종 과학자를 소개하는 위키백과 페이지를 만들어왔다. 지금까지 쓴 과학자만 400명이 훌쩍 넘는다. 이 같은 공로가 인정돼 국제학술지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전체로 시야를 넓히면 고리의 제왕은 더욱 늘어난다. 2012년 에릭 마마젝 미국 로체스터대 물리천문학과 연구교수(현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외계행성프로그램 부수석)팀은 지구에서 430여 광년 떨어져 있는 별 ‘J1407’의 주위에서 토성보다 더 큰 고리를 가진 행성 ‘J1407b’를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