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수만은 없는 일이다. 따라서 지하수 관리의 개념을 도입해 지하에도 지표처럼 댐을
건설
하는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지 고려되고 있다.이 외에도 대체수자원으로는 사용한 용수를 다시 이용하거나, 우수를 활용하거나, 해수로부터 담수를 만드는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해수를 담수로 ... ...
도시 크기의 미래 행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같은 현재의 소형 우주선과 달리 미래의 우주선은 작은 도시 크기로 지구궤도에서
건설
돼야 한다. 은하를 가로지르는 우주여행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타야 하기 때문에 거대한 우주선이 필요한 것이다.이 우주선은 새로운 추진시스템으로 우주공간을 비행한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조프리 랜디스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진행되면서 생명의 가장 소중한 자원인 물이 양적·질적으로 심각하게 저하됐다.
건설
교통부의 전국 용수 수급계획에 따르면 2006년에는 4억t, 2011년에는 20억t 이상의 물이 부족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제는 ‘물을 물 쓰듯이’ 해서는 물건을 만들거나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되는 물뿐만 아니라,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유명하다. 고대 왕들은 자신의 보물을 지키기 위해 미궁처럼 복잡하고 거대한 무덤을
건설
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중국의 진시황릉이 그 대표적인 예다.해리포터에서 등장하는 학교 지하실은 보물을 지키기 위한 미궁이다. 입구는 머리 셋달린 개가 지키고 있으며 사람을 조이는 덩쿨과 마법의 ... ...
원자력에너지의 핵심 중성자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개발하는 것이다. 물론 원자력발전소 운영에 따른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분장
건설
과 수명을 다한 발전소의 해체에 관한 연구도 중요하다. 바로 환경공학 기술 분야의 주된 주제다.1987년설립된KAIST 원자력공학과 원자로해석및 입자수송연구실은 핵반응에 기초한 중성자 수송이론에 대해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정부는 석유를 사용하던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고, 대신 원자력발전소를 추가로
건설
할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자동차 사용제한과 석유배급제를 3월부터 단계적으로 실시한다고 한다.모든 것이 암울해보이는 상황에서 한줄기 서광이 비치고 있다. 바로 휘발유 대신 알코올로 만들어진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입는 옷과 사용하는 첨단제품 속에 녹아있고, 인류가 달에 첫발을 딛고 우주정거장을
건설
한 것처럼 머지않아 우주시대가 열리리라는 것 또한 의심치 않는다.하지만 우주에 대해 우리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이런 질문에 맞닥뜨리게 되면 왠지 자신이 없다. 그럼 이번 겨울에는 우주여행을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정전 등의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각종 안전장치도 마련돼 있다. 서울월드컵경기장
건설
단 설비담당관 나용제 주임은 “상암구장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한국전력으로부터 별도의 전용선 2개를 확보하고 있으며 최첨단 무정전 전환장치(UPS)도 설치돼 있다”고 말한다. 무정전 전환장치는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건설
할 장소로 전라남도 고흥군의 외나로도를 선정했으며, 1천5백억원을 들여 현재
건설
을 준비하고 있다.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우주로 나가는 우주항구의 역할뿐만 아니라 우주과학교육센터가 만들어져 우주과학의 교육시설로도 활용될 것이다.우주발사체는 2010년까지는 무게 1천kg급 인공위성을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EURATOM)는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
에 대한 청사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즉 ITER
건설
후 운영기간 중반에 ‘DEMO 핵융합로’(상업용 핵융합 발전소로서의 시제품 DEMO)를 설계해 2030년경부터 운영할 예정이고, DEMO 운영 중반 단계인 2030년대 중반부터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인 PROTO를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