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d라이브러리
"
건설
"(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비 과학자들의 진로탐색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나온 경우 상담사들이 이를 분석해 관리직이나 경찰·교정직, 사회공공복지, 회계,
건설
등의 직업군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려준다.그리고 MBTI 및 진로탐색 검사를 한 후 캠프 마지막날 밤에는 5명씩 모여 집단상담 시간을 갖는다. 집단상담을 하기 전에 학생들은 자리 게임을 하며 몸푸는 시간을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나리를 보기좋게 작게 만드는데도 활용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
하거나 건축을 하기 위해서 터를 다듬을 때에 으레 산을 깎아 내린다. 이 때문에 절개지가 생기고 이를 빠른 시일 내에 푸르게 녹화시켜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일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이런 경사지를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고품질 X선은 포항공대 가속기연구소 덕분에 해결됐다. 2000년 포항 방사광가속기에
건설
된 전용 빔라인이 연구의 밑바탕 역할을 한 것이다. 첨단과학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방사광가속기와 같은 연구 기반시설이 밑바탕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물론 가장 중요한 원동력은 인적 자원이다. ... ...
4. 사흘만에 10m 교량 뚝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길이가 10m 정도인 교량을 2-3일만에 교체한 적이 있다.복합재료는 대형 건물을
건설
하는데도 콘크리트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복합재료는 강도가 콘크리트보다 더 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보다 적은 양으로 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복합재료로 건물을 지은 사례가 없어 ... ...
주인 알아보는 똑똑한 집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세넥스테크놀로지는 최근 동방그린종합
건설
, 경원코퍼레이션 등 고급 빌라를 짓는
건설
업체들과 계약을 맺고 자사의 홍채인식 시스템인 ‘트루아이’를 가구별 출입문 통제장치로 공급키로 했다. 이 장치가 출입문에 달려있으면 눈으로 아파트 문을 여는 셈이다. 액센트와 억양, 문맥까지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고려청자는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퇴적층으로 덮여 있었다가 최근 인근의 새만금 방조제
건설
로 인해 물살이 빨라져 해저의 퇴적층이 4-5m 깊이로 깎여나가면서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후 본격조사를 통해 해저 뻘층 밑에 묻혀있는 청자까지 인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게다가 에로스 정도의 소행성이면 우주정거장이 아닌 서울시 만한 우주도시를 몇개나
건설
할 수 있다.소행성 이용해 온난화 해결먼 미래의 지구는 빙하기가 다시 찾아오거나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으로 바뀔 수 있다. 이때 소행성을 이용해 지구의 기후를 바꿀 수 있다고 한다. ... ...
빨라진 대중교통·여전히 혼잡한 도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60km에 달한다.한편 중소도시와 대도시 간에는 경량전철이 고려되고 있다. 경량전철은
건설
비가 전철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 규모 수송능력을 갖고 있는, 전기로 구동되는 대중교통수단이다.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에 배기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기도 ... ...
미인 제품 빚어내는 차세대 소재성형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성형외과 의사처럼‘아름다움’을 불어넣어‘미인’을 빚어내는 소재성형기술. 반도체나 자동차에 들어간 고성능 부품을 만드는 숨은 공로자이다. 이제 소재성형기술은 명함 같은 휴대폰, 일체형 부품이 적용된 자동차, 사흘만에
건설
되는 교량에 도전한다.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진정한 가치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남극을 연구할 수 있다는데 있다. 바로 세종기지를
건설
하면서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매년 남빙양에서 해양조사를 하고 기지 둘레의 지질을 조사하고 월동대가 자연환경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해 왔다는 점이다.연구분야는 크게 고층대기연구를 포함한 대기과학과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