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44건 검색되었습니다.
속 빈 튜브에 햇빛을 가두다
과학동아
l
2014.06.19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하이브리드 태양전지는 무기물을 이용한
기존
태양전지와 달리 무기물 위에 유기물 고분자를 얇게 코팅해 만드는 데, 고온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값싸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하이브리드 태양전지의 빛 반사율을 낮추고 ... ...
동전만한 크기에 DVD 3000편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4.06.19
금속층을 교대로 배치한 인공격자를 이용해 자성을 잃지 않도록 한 것. 홍 교수는 “
기존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정보저장 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며 “하드디스크 제조공정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 각종 패턴 공정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분야 ... ...
신약계의 ‘코펜하겐 학파’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6.17
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는다. 페이스북에 개설한 비밀모임이 운영의 전부고 연사 역시
기존
구성원들의 추천으로만 정해지는 등 닫힌 운영을 하고 있지만 매일 살롱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늘고 있다. 한번 연사로 온 사람들의 재방문이 많기 때문이다. 살롱의 존재만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 ...
한-미 공동 벤처 설립해 첨단 카메라 시장 선점
과학동아
l
2014.06.17
협약을 통해 ‘4컬러 이미지 센서(4-color image sensor)’ 기반기술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기존
의 카메라용 센서가 붉은색과 녹색, 푸른색(RGB)만 인식했던 것과 달리 ‘적외선(IR)’도 촬영하기 때문에 화질이 뛰어나며 1개의 렌즈로 3차원 영상을 촬영 할 수 있다. CISS는 조인트벤처를 통해 이 센서를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왜 생겼나 봤더니…
과학동아
l
2014.06.16
광대뼈와 눈 주위 뼈를 다친 경우가 그 뒤를 이었다. ●거친 음식 먹어 턱 발달했다는
기존
가설 뒤집어 이는 남성과 여성의 얼굴형이 서로 다른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마이클 모건 유타대 의대 연구원은 “주먹다툼으로 응급실에 오는 환자의 90%는 남성”이라면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생존을 ... ...
방사성 세슘 다 잡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6
같은 다른 이온들이 뒤섞여 있어도 세슘만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또 흡착 속도가
기존
대비 2배 이상 빠르고, 강산성·강염기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흡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6개월 정도면 실용화가 가능할 것 같다”며 “원전 사고시 발생한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핵연료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선정하고 2020년까지 매년 100억 원을 집중 투자하고 있다. 조 단장은 “
기존
의 전자기기를 소프트한 형태로 바꾸고 신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면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며 “몇 년 안에 소프트혁명의 초기 결과물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미래 에너지 공급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촉매를 표면에 코팅하는
기존
의 평판 전극형 생체연료전지는 낮은 전력 효율과 짧은 가동시간, 취약한 안정성 등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 또 유연성도 좋지 않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 ...
햇빛만 있으면 수소 얻는다
과학동아
l
2014.06.11
연구진이 개발한 3차원 광전극은 빛의 흡수율과 접촉 면적이 높아 수소 생산 효율이
기존
의 2배 이상 높다. 임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3차원 광 전극은 약한 전기를 흘려 주면 효율이 훨씬 더 높아지기 때문에 상업용 수소생산시설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전기화학공정이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점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해 왔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방법으로 만든 iPS세포의 위험성을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증명하고 정확한 이유까지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야마나카 교수가 개발한 방법으로 체세포에서 iPS세포를 만들어 ... ...
이전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