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가장 유명한 예다. - Neitz Laboratory 제공 먼저 ‘유전자 추가’라고 할 수 있는
기존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바이러스 가운데는 감기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바이러스처럼 사람에 감염한 뒤 세포 안에서 그냥 증식하는 녀석도 있는 반면 헤르페스바이러스처럼 일단 바이러스 게놈이 인간 게놈 ... ...
공항엔 얼마나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14.06.30
다섯 시간을 비행기를 놓치는 상황과 다르지 않게 본 것이다. 또한 엘른버그 교수는
기존
의 자료를 분석해서, 출발 30분 전에 공항에 도착하면 20%의 확률로 비행기를 놓친다는 걸 알아냈다. 출발 한 시간 전과 두 시간 전은 각각 5%와 1%의 확률이었다. 이에 엘른버그 교수는 공항에서 대기하는 ... ...
인류 구할 ‘슈퍼히어로’는 누룩곰팡이
과학동아
l
2014.06.29
무력화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 'AMA'를 발견했다. - 미국 맥마스터대 제공 연구팀은
기존
항생제 카베페넴에 누룩곰팡이의 일종인 아스페르질루스 베르시콜로르(Aspergillus versicolor)에서 추출한 화학물질 ‘AMA’를 함께 처방하면 NDM-1 유전자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AMA의 효능은 ... ...
최첨단 식물 공장, KIST 강릉분원을 가다
과학동아
l
2014.06.29
식품이나 의약품, 화장품 개발에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의약계의 경우
기존
항성제의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물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고, 화장품 업계도 피부 친화적인 천연화장품 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27일 '고부가가치형 식물공장 시스템(u-FARM)'과 '초고속 천연물 ... ...
TV 오래 보면 일찍 죽는다?
과학동아
l
2014.06.27
질환 등 심각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2배 높았다. TV 시청이 건강에 매우 좋지 않다는
기존
의 주장이 다시 한번 증명된 것이다. 반면 운전이나 컴퓨터를 오래하는 행동은 치명적인 질병들과 크게 관련이 없었다. 미구엘 박사는 “나이가 들수록 오래 앉아있는 습관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며 ... ...
정전기로 분자들 쫙 줄세웠더니…
과학동아
l
2014.06.24
속도가
기존
소자보다 최대 100배까지 향상된다는 사실을 규명해냈다. 이 교수는 “
기존
의 유기분자 정렬 방법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정렬 방법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고성능의 유기 전자소자를 제작할 수 있게 됐다”면서 “향후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 ...
천식치료제, 소음성 난청 예방에 효과
과학동아
l
2014.06.24
아주대 의대 교수. 아주대 제공
기존
에 천식치료제로 사용되던 약이 소음성 난청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확인했다. 박상면 아주대 의대 교수팀은 “천식치료제 ‘몬테루카스트’가 청각세포의 사멸을 막아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23일 ... ...
촉매제로 쓰이는 제올라이트의 ‘속사정’
과학동아
l
2014.06.23
알루미늄을 이용해 긴 바늘 모양의 제올라이트(NAT 구조)를 처음으로 합성하고, 여기에
기존
제올라이트의 뼈대 원소로 알려진 ‘갈륨’을 반응시켜 갈륨원자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처음에는 갈륨원자가 이 제올라이트의 표면에만 머물다가 차츰 제올라이트 결정 안으로 ... ...
물만 뿌려도 음식물쓰레기가 싹~
과학동아
l
2014.06.20
스펀지를 넣고 물만 꾸준히 뿌려주면 대부분 처리가 가능한 셈이다. 권 연구원은 “
기존
에 탈수 방식이나 건조시켜 분쇄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있었지만 결국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필요했고, 미생물로 분해하는 방식도 특정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넣어줘야 하는 한계가 ... ...
‘과학’ 사라질까 두려운 출연연
과학동아
l
2014.06.19
확립 ▲출연연 공통 애로사항 해결 등으로 제시했다. 이 가운데 융합 연구 활성화는
기존
의 단순한 협동연구를 탈피해 출연연의 연구 역량을 결집해 수요가 있을 때 즉시 부응할 수 있는 혁신적 융합연구 모델인 ‘융합연구단’을 꾸리는 안도 포함된다. 가령 각 출연연에서 저마다 수행 중인 ... ...
이전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1130
1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