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표했다.코코넛크랩은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 널리 서식하는 육지 소라게다. 몸무게는 최대 4kg 안팎으로, 펼치면 몸길이가 약 1m나 된다. 특히 집게발의 힘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측정한 적은 없었다.츄라쉬마재단의 신이치로 오카 박사팀은 몸무게가 33~2120g인 야생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간 변화율). 물질은 항상 빛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이 반지름은 물질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이기도 하다. 우주에 우리가 아는 물질만 존재한다면, 허블 반지름은 항상 증가한다.그런데 만약 특정 기간 동안 어떤 이유에선지 허블 반지름이 감소한다고 해보자. 물질의 이동거리는 제한된다.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땅을 긁거나 파는 행위로 암컷을 유혹하지요. 이 동물들이 만든 흔적은 길이가 최대 2.3m이고, 땅에 고랑이 생길 정도로 매우 크고 깊어요. 이 모양은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만든 흔적과 매우 비슷하답니다.이러한 증거들을 토대로 공동연구팀은 공룡이 바닥을 긁은 행동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많다. 이석천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는 “Ia형 초신성은 폭발 후 며칠 뒤에 최대로 밝게 빛났다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어두워진다”며 “이 주기 중 일부분을 관측해 얻은 밝기 변화 그래프를 보정해서 절대밝기를 추정하는데, 그 방법이 연구 그룹마다 다르다”고 말했다.문제는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먹을거리가 풍성한 섬, 제주도! 그런데 제주도에 아시아 최대 항공우주박물관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바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이에요.이번 겨울 방학, 즐거운 체험이 가득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드넓은 하늘로 모험을 떠나 보는 건 어떨까요?1. 거대한 비행기를 띄우는 날개!새처럼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있지요. 우주인이 똥이나 오줌을 싸면 분말이 재빨리 흡수한답니다.하지만 이 기저귀는 최대 6~8시간까지만 사용할 수 있어요. 스페이스 풉 챌린지는 이런 불편을 줄이고 장기간 사용해도 문제없는 신개념 ‘기저귀’를 찾는 과정이랍니다.똥오줌으로 식량 생산까지?!스페이스 풉 챌린지의 목표는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답니다. 정말 치타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니? 네~! 저는 최대 시속 160km로 날 수 있어요. 최고 속도가 시속 120km인 치타보다 빠르답니다. 그런데 이건 수평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속도지요.하늘을 나는 동물의 속도는 ‘수직속도’와 ‘수평속도’ 두 가지가 있어요.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뜨거운 박수가 쏟아졌어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전국에서 2300여 명이 참여해 사상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어요. 또 제비 탐사와 민물고기 탐사가 추가되면서 탐사 생물이 총 6종으로 늘어났지요.종별로 탐사하는 지역도 다르고, 횟수도 다르기 때문에 6종을 모두 수료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봤어요. 그 결과 80Hz의 소리를 65dB의 크기로 들려 줬을 때, 최대 3m 거리까지 들을 수 있었어요. 또한 깡충거미는 80Hz의 소리를 0Hz나 2000Hz 소리보다 각각 6배, 3배 더 잘 감지했답니다.길 멘다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깡충거미도 청각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수는 지구에 있을 거라고 추정되는 생물의 아주 일부에 불과하거든요.과학자들은 지구에 최대 2000만 종 이상의 생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즉, 우리는 주변에 함께 살고 있는 생물 중 1% 정도만 자세히 알고 있다는 거지요. 나머지 종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발견되고 있답니다. 1년 동안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