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단계로, 2022년 4월까지 1.2GW 규모로 1차로 준공되고, 이후 2025년에 나머지 900MW가 지어질 예정이다. 현재까지 준공된 국내 최대 수상태양광(25MW)보다 발전설비용량이 80배 이상 크다. 새만금호 자체가 워낙 넓어서 수상태양광 패널이 덮는 면적은 전체의 10% 미만이다. 하지만 패널이 덮는 면적만 놓고 ... ...
- [이공계 잡터뷰] 종합예술가 건축사 │ 예술과 인문학, 공학까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배울 때 선 긋기와 스캐치 등 미술 관련 수업을 들어야 했다”고 말했다. 건축과 예술은 관계가 깊은 만큼 미술대학 수업을 청강하기도 한다.디자인 설계는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한 뒤 이를 실제 모형으로 제작하고, 건설에 필요한 재료, 공법 등을 결정하는 순서로 이뤄진다. 윤 소장은 “디자인 ... ...
- [진로체험] 다가오는 자율주행차 시대 수학이 필수!수학동아 l2021년 01호
- 2021년부터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시스템이 알아서 운전하는 3단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됩니다. 지금 나오는 2단계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할 뿐 직접 운전하지 ... 한다면 SW 분야에 진출해 습득한 것들을 원하는 분야에 적용하고, 발전시켜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첫 전성기, 고생대! 고생대는 지구 역사상 처음으로 화석이 많이 발견된 지질시대예요. 약 5억 4100만 년부터 2억 5200만 년 전으로 추정되지요. 그전까지는 미생물이나 부드러운 형태로 살던 생물이 고생대부터 폭발적으로 진화해 늘어나기 시작했죠. 고생대에는 얕은 바다가 넓게 발달했어요. 덕분에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발견한 이후의 세계는 차원이 다르다. 알파폴드2가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우리의 예상보다 빠르게 생체 내 분자를 탐구할 수 있는 훌륭한 성능을 갖춘 AI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CASP14 학술대회에서 “향후 디지털 가상 세포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 ...
- 44년 만에 열린 달 광산... 재개장하는 이유는 화성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기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달의 나이와 자기장은 물론 다양한 달의 이력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석에 남겨진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면 달 표면에 얼마나 많은 고에너지 입자가 부딪혔는지, 화산활동이나 소행성 충돌이 달과 화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할 수 있다.심채경 한국천문연구원 ... ...
- 늘어난 실내 생활 ‘공기 질’ 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험을 하는 이유는 실제 생활에서 대기오염을 피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이슨은 2019년 런던 시내 5개 학교, 약 250명의 학생이 참여한 ‘브리드 런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공기 질 측정 배낭을 착용하고 등하교를 하며 공기 질 데이터를 제공했다. 다이슨은 ... ...
- [이공계 잡터뷰] 약국 근무 약사의 하루, 상담부터 공부까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약사국가고시를 통과해야 받을 수 있는데, 응시 자격은 약대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입니다.Q3 필요한 자질이 있다면?끊임없이 새로운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끈기와 많은 환자를 대하는 만큼 의사소통 능력이 있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Q4 약사는 어떤 직장에서 일하게 되나?약국에서 일하거나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번 호에서는 엔트리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여러분 얼굴에 황금비율이 있는지 찾아볼 거예요. 황금비율을 재는 여러 기준 중에,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입술의 너비’의 비율인 ‘가로 비율값’과 ‘미간과 코 사이의 거리’와 ‘코와 아랫입술 사이의 거리’의 비율인 ‘세로 비율값’을 ... ...
-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있어요. 항체가 달라붙는 과정은 단백질과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이라서, 복합체 구조 예측 연구가 신약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거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