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AI의 시력을 높여주는 '행렬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픽셀은 매우 작은 사각형 모양의 점으로, 그 안에 색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죠. 예를 들어 흑백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은 흰색부터 검은색까지의 명암을 나타내며 컴퓨터는 명암을 나타내는 숫자로 이미지를 인식합니다. 한편 컬러 이미지의 경우에는 주로 빨강, 초록, 파랑 각각의 명암을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높은 쪽 경곗값인 ‘상한’을 낮추면 정확한 램지 수에 좀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R(3,3)=6이라는 것은 R(3,3)이 6보다 작거나 같고 5보다는 크다는 연구 결과를 종합해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학자들은 R(t,t)처럼 r과 s가 같은 경우로 좁히거나, R(3,t)와 같이 두 변수 중 하나를 고정해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계산한 확률이 0보다 크면 부분 완전그래프가 없도록 칠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구체적인 예를 구하지 않아도 부분 완전그래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으로 에르되시는 램지 수가 존재할 범위의 최솟값인 하한을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예전보다 학내 동아리의 수는 더 늘어나고 다양해졌지만, 동아리를 통해 얻는 즐거움은 예나 지금이나 같지 않을까.딸기파티도 빼놓을 수 없는 경험이다. 신입생들이 학교 정취에 익숙해질 때쯤 도서관 앞 잔디밭은 딸기파티를 준비하는 학생들로 북적거린다. 흔히 ‘딸파’라고 줄여 부르는데 199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영상, 같이 볼까요. ▶ 게임 속 치트키아무런 인트로 영상도, 자막도 없이 대뜸 체가예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자신의 방에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동생이 게임을 하는 모습을 봤는데, 치트키(게임 속 비밀키 또는 속임수)를 쳐서 캐릭터가 통과할수 없는 벽을 통과해버렸다고 말입니다. 동생이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해 화성 탐사 레이스에 가장 먼저 뛰어든 국가는 아랍에미리트(UAE)였다. UAE는 아랍권 국가에서는 최초로 우주개발 레이스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7월 20일 UAE가 발사한 궤도선 ... 기후 특성과 지표면의 환경을 측정할 계획이다. 화성 전자기장과 중력, 내부 구조 등도 파악할 예정이다 ...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단계로, 2022년 4월까지 1.2GW 규모로 1차로 준공되고, 이후 2025년에 나머지 900MW가 지어질 예정이다. 현재까지 준공된 국내 최대 수상태양광(25MW)보다 발전설비용량이 80배 이상 크다. 새만금호 자체가 워낙 넓어서 수상태양광 패널이 덮는 면적은 전체의 10% 미만이다. 하지만 패널이 덮는 면적만 놓고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리고 인물이 처한 상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러자 공통점이 보이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불꽃놀이를 구경하는 사람들에게선 경외하는 표정이, 무술을 선보이는 사람에게선 집중하는 표정이, 결혼식을 하는 사람에게선 만족스런 표정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사람에게선 통증을 느끼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뇌전증 등의 뇌질환 역시 시냅스의 구조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발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뇌 속 노폐물 단백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시냅스를 파괴하는 과정이 발병 초기의 중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시냅스는 크게 흥분성 시냅스와 억제성 시냅스로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측정 방식을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나타났지요. 이를 토대로 풍차처럼 돌려 연속적인 충격력을 만드는 모델을 개발한 거예요.송민정 교수는 “실제로 어린이가 뛸 때의 충격력과, 연달아서 바닥을 가격하는 특징을 나타낸다”며, “이 연구 결과가 어린이용 실내화나 충격을 줄이는 완충재의 성능을 개선할 때에 활용할 수 있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