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하는 ‘세로토닌’에 작용하는 약을 사용해. 세로토닌이 뇌로 재흡수되는 것을 막아 뇌 속 세로토닌의 농도를 높이는 약이지. 하지만 약물치료는 공포증이 너무 심해서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경우에만 드물게 사용해. 공포증은 주로 행동치료를 하고, 행동치료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 ...
- 고민하는 초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행동에는 ‘FoxP’라는 유전자가 관련이 있지요. 연구팀은 이와 마찬가지로 초파리에게도 뇌가 무언가를 결정하게 만드는 FoxP 유전자가 관련돼 있다고 설명했어요. 사람이 아닌 곤충도 비슷한 원리로 결정을 내린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실험이었지요.과일만 좋아하는 줄 알았더니 너희도 꽤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글씨를 예전보다 적게 쓰고 있어요. 직접 펜을 사용해 글씨를 쓰는 것은 기억력과 뇌 발달에 도움을 준답니다. 스마트폰 시대지만 손 글씨도 계속 사랑해 주세요!”중력으로 쓰는 볼펜연필은 흐릿흐릿해~. 게다가 사각사각 거칠게 써지잖아. 나처럼 진하고 둥글둥글 부드럽게 써지는 볼펜으로 ... ...
- [과학뉴스]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판단 과정에서 촬영한 fMRI 영상에서는 선명한 차이가 드러났다. 물건을 판단할 때 노인의 뇌 중 복내측 전전두엽이라고 부르는 부분이 젊은이에 비해 선명하게 반응했다. 이 부분은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 곳이다. 연구팀은 “판단능력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노인이라도 실제로는 젊은이보다 더 많은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경문(울진고 2) 군은 물고기 해부 시간에 두각을 드러냈다. 엄청난 집중력으로 물고기 뇌와 심장, 간과 내장을 말끔하게 분리해냈다. 최영웅 박사는 “해부하는 모습을 보면 성격이 드러난다”며 “경문이가 완벽주의에 가깝게 침착함과 섬세함을 갖췄다”고 말했다. 경문 군은 해산물에서 약효를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기술융합 연구단장,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진행을 맡은 과학동아 윤신영 기자(왼쪽부터).]서 단장은 “광학현미경의 원리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겠다”며 기발한 비유를 들었다. 자신을 분자라고 가정한 다음,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환경청(EPA)의 벨리나 베로네시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에 들어가는 산화티타늄나노입자가 뇌신경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미국 로체스터대 귄터 오베르되스터 교수는 프라이팬 코팅재로 흔히 쓰는 테플론(PTFE) 나노입자를 쥐가 15분 동안 마시게 했더니 4시간 만에 죽었다고 보고했다.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주위 연구원들이 퇴근한 뒤에 실험실에 몰래 들어가 혼자 실험을 하곤 한다. 작년부터 뇌과학연구소인 세인즈베리웰컴센터 초대 센터장을 맡고 있다. 가능성 높은 후배 과학자에게 아낌없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이 최대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게 도울 생각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과학뉴스] 혹시 나도… 디지털 치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람. 재빨리 검색을 하면서 “생각만으로 답이 나오나? 찾아야지!”하고 말하는 사람. “내 뇌는 인터넷 전체야”하며 자랑스러워하는 사람. 글쎄…, 틀린 말은 아닌데, 자꾸만 검색에 의존하다가 머리가 텅 비면 어쩌려고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인간프로테 옴프로젝트(HPP)’ 첫 번째 워크숍이 열렸다. 여기에는 간이나 뇌, 혈장 속의 단백질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함께 모였다. 하지만 연구하는 부위나 방법이 다르다 보니 결과물을 공유하기 어려웠고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인간 게놈 연구 때 사용했던 전략을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