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중"(으)로 총 1,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안테나, 각종 스위치, 콘덴서와 같은 부품들이 칩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돼 나중에 납땜으로 전선을 이어서 모든 부품과 칩이 따로 조합된다.그런데 MEMS 기술이 RF 송수신기 제작에 이용된다면 각종 부품의 성능 향상은 반도체 공정과 같은 과정을 통해 한 기판 위에 모든 부품들이 제작된다. ...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알고 있던 작동 메커니즘을 확실히 깨닫게 된다. 또한 이런 숙제를 해본 학생들은 나중에 과학자나 엔지니어가 돼도 과학과 기술을 정부 관계자나 대중에게 훨씬 쉽게 설명한다.미국의 한 학자가 20개 연구기관에서 일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 2백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바에 따르면, “쓰기 ... ...
- 특별한 물리교사 도다 이치로과학동아 l2002년 02호
- 공기 속에 존재하는 방사성원소 라돈(Rn)이나 토론(Tn)에서 나오는 α선 궤적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됐다. 또 유리상자 앞에서는 나이 들어보이는 사람이 열심히 실험을 지도하며 설명하는 중이었다. 이 지도교사가 바로 일본인 도다 이치로(60)였다. 1911년 영국의 물리학자 윌슨이 선보였던 ... ...
- 제왕의 등장 알리는 징표 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주몽은 혓바닥에 바늘이 박혀 초라해보였던 명마 덕분에 부여에서 도망칠 수 있었고, 나중에는 기린이라는 천상의 말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 이렇듯 말은 우리나라에서 제왕의 징표로 사용된 신성한 동물이다. 하늘 오가는 천상의 동물신성한 동물 말이 우리 조상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에 ...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일반적으로 초보자의 경우 바인딩의 각도를 앞 25도, 뒤 15도 정도로 세팅을 한 뒤, 나중에 자신의 스타일을 결정하고 각도를 바꾸면 된다. 일단 자신이 선 상태에서의 너비와 각도를 결정하고 나면 쉽게 바꿀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고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하라. 그러나, 선 자세가 바르지 않다고 ...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포함된다. 각 패킷은 서로 다른 인터넷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내진 패킷들이 나중에 결과치를 안고 되돌아오면 이들을 모두 합쳐 원래의 파일로 재조립한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매우 복잡한 문제를 세분화해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고, 이를 전세계의 컴퓨터 자원에 분산시켜 계산토록 ...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다른 맛을 얻기 위해 생강, 유자, 들국화, 참깨, 구기 등을 찻잎과 섞어 만들었다. 이것이 나중에는 차를 넣지 않고도 만들어서 차 대신 끓여 마시게 된 것이다. 대용차인 셈이다.그렇다면 찻집 메뉴판에서 찾을 수 있는 차의 종류는 뭐가 있을까. 녹차, 홍차, 우롱차 등 세종류. 녹차, 홍차, 우롱차는 ...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황우석 교수는 “한우의 체세포 핵과 젖소의 난자로 복제된 소는 한우로 태어나지만 나중에 새끼를 갖게 되면 젖의 양이 한우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영향이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없지는 않다는 설명이다. 황 교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복제된 동물의 ... ...
- 버스에 숨은 첨단과학 찾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무선통신이 가능하다.현재 버스카드는 두종류다. 미리 돈을 충전해놓는 선불식, 그리고 나중에 계산되는 후불식이 있다. 이 둘의 차이는 단지 요금의 지불 시기가 다르다는 것뿐이고, 단말기와 카드 사이의 무선통신 방식은 같다. 그리고 버스회사는 단말기의 메모리 장치를 회사 내 서버에 연결해 ...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있는 것이다.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분야20세기의 처음 반세기는 물리의 시대였으며 나중 반세기는 화학의 시대였고, 21세기는 생물의 시대라고 한다. 그렇다면 화학은 이미‘끝난’학문이 아닌가.김 교수는 이에 대해 단호하게“아니다”라며“우리는 요즘에 와서야 간단한 화학현상을 조금씩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