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혼자 힘으로 만든 공상과학영화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번 지방 행사를 통해 런던 SF 영화제가 영국의 명실상부한 국제 행사로 거듭나는
계기
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작은 소망에서 시작한 영화제가 이제 큰 꿈을 이룰 날도 멀지 않은 듯하다. 소박한 열정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궁금하면 런던 SF 영화제에 가볼 것을 권한다 ... ...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발견한 것은 플로지스톤 이론이 붕괴되고 근대 화학이 성립하는 길목에 결정적인 변화의
계기
를 제공했다. 그래서 후대 사람들은 라부아지에를 통해 ‘화학혁명’이 일어났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라부아지에는1743년 프랑스 파리에서 부유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나 가족들의 바람대로 법학을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혁신을 통해 영국항공은 지난해 비즈니스석에서만 800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물론 이를
계기
로 다른 항공사들도 비즈니스석 디자인을 바꾸는 프로젝트가 한창 진행중이다. 흔히 디자인은 아이디어 싸움으로 너무나 간단히 표현되곤 한다. 하지만 디자인 행위 뒤엔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치밀한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더욱 우울해집니다. 기능성도 높이면서 보기에도 날렵한 보행보조기를 디자인하게 된
계기
지요.” ‘액티브’(Activ)란 이름의 보행보조기를 디자인한 영국 탠저린의 디자이너 이돈태 부사장의 말이다.이 부사장은 사람들이 보행보조기를 보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게 되기보다는 위안을 얻고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웬 눈물 이야기인가?2002년 대선 직전 2분짜리 광고 한편이 대선결과를 뒤집는 중대한
계기
가 됐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당시 노무현 후보의 파란만장한 인생역정이 짧은 필름으로 스쳐지나가고 그가 직접 기타를 퉁기며 나직이 노래를 부른다. 주루룩 눈물을 흘리면서. 이게 그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있을까. 원자폭탄 100만개 에너지이번에 발생한 지진의 규모는 9.0으로 20세기 이후
계기
로 관측된 지진가운데 4번째로 큰 지진이다. 가장 큰 지진은 1960년 5월 22일에 남미 칠레에서 발생한 규모 9.5의 지진이다. 도대체 규모 9.0이면 어느 정도의 지진일까. 규모 5의 지진은 대략 2차대전 당시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정도의 자본과 열의만 있으면 과학자 혼자서도 휴머노이드를 만들 수 있다”며 “휴보를
계기
로 앞으로 한국의 휴머노이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NBH-1은 앞으로 2~3년 동안 행사 도우미나 과학관 도우미 등 엔터테인먼트 로봇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장기적으로 가정에서 심부름이나 ... ...
과기부, 물리의 해 선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오명 과학기술 부총리는 “일반대중이 물리학 등 기초과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계기
가 되기를 바라며, 정부와 과학계가 합심해 기초과학 진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선포식을 시작으로 빛의 축제, 청소년 물리 홍보대사 선발, 아인슈타인 전시회 및 각종 학술회의 등 다양한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가로축 스러스트 베어링이 있다 세로축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힘이 적게 걸리는 시계·
계기
등에 사용되는 피벗 베어링이 있다 가로축 스러스트 베어링에는 칼라 베어링이 있다 1761~1815 영국의 화학자 다이아몬드와 숯의 연소에서 생기는 탄산가스의 양을 비교, 양자의 화학적 동일성을 증명했다(1796) ... ...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피뇬 제이를 통해 복잡한 사회가 인지능력의 진화에 결정적
계기
가 됨을 보였다”고 말했다.국내에서도 까마귀과 새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 저술가이자 과학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최재천 교수의 연구실이 바로 그곳. 최 교수팀이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