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과학도들의 날카로운 의혹 제기가 이들에게 말을 ‘바꿔야만 할’
계기
를 제공하기도 했다.서울대 황우석 교수 “순수 기증받은 난자만 사용했다.” (11.24 기자회견 전)→“난자 제공한 연구원이 사생활 보호 요청해 감췄다.” (11.24 기자회견)“단순 실수다.” (인터넷에서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다룬 기사였다. 체르노빌 사고는 안전하다고 믿었던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되돌아보는
계기
가 됐다. 1987년 10월 특집으로 다룬 ‘극한의 과학’은 손톱만한 반도체 등 한국에서 개발되고 있던 첨단기술을 소개해 국내 기술에 대한 자부심을 일으켰다. 과학교사와 함께 다녀온 생태탐사는 한국의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문 지식은 노 작가의 상상력과 연결되면서 과학과 예술의 제역할을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
를 마련했다.작가적 상상력이 과학자의 연구에 영감을 불어넣은 사례도 있었다. 양아치 작가는 KIST 지능로봇연구센터에서 개발 중인 비행로봇에서 영감을 얻어 테러와 감시라는 사회적 이슈를 담아낸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관측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우리나라의 지진 관측 역사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1978년
계기
관측을 시작했고 지진관측소도 몇 군데 되지 않았어요. 그런데 지진 발생 기록을 보면 과거에 10여 회밖에 감지되지 않던 지진이 지금은 1년에 40여 회 정도로 발생 횟수가 많이 늘었어요. 갑자기 우리나라에 ... ...
'식물원에 대한 편견 깨뜨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만들어 현재까지 운영해오고 있는 이택주 식물원장을 만나 식물원을 만들게 된
계기
와 식물원의 역할에 대해 들어 보았다.“1978년 유럽을 방문했을 때 국민들의 생태 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하고 있는 식물원을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 때 이런 생각이 들었지요.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선장이 학창시절을 보낸 곳이라 아마 남다른 감회가 있었을 거예요.이번 우주여행을
계기
로 870시간의 우주비행 기록을 갖게 된 아일린 콜린스. 그녀가 만들어 낸 이번 15일간의 아름다운 우주여행은 우주개발의 역사는 물론 사랑하는 두 아이의 가슴 속에 깊은 감동으로 자리잡을 것입니다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만들어진 3만 개의 부품을 도장이 완료된 차체에 채우는 과정이다. 엔진과 바퀴, 각종
계기
판과 의자 등의 수많은 부품들은 자동차가 컨베이어 라인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작업자와 로봇에 의해 조립된다. ❺테스트∙출고완성된 자동차에 문제가 없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는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평균치형 · 최대치형 · 제곱평균치형 등으로 나뉜다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계기
교류전류계에 저항을 직렬로 넣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주파전압(高周波電壓)의 측정에는 주파수 특성이 좋은 다이오드를 사용한 파고치형(波高植型)이 주로 사용된다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일반적으로 기질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저지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깁스-뒤앙의 관
계기
전력 E의 가역전지(可逆電池)에 적용하여 구하는 E=q+T(dE/dT)의 관계를 특히 깁스-헬름홀츠의 식이라고 할 때도 있다q는 단위 전기량이 흐를 때 방출하는 열량을 표시한다J W 깁스에 의해 정식화된 통계역학의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추계학술대회'에서는 학국인의 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를
계기
로 지난 수백만년 동안 우리와 함께해 온 발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지금 양말을 벗고 왼발과 오른발의 길이를 재보자. 보통 짝을 이루는 오른발과 왼발의 길이가 같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최근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