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달러(약 124해 5400경 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런 프시케16 탐사를 위해 올해 10월 프시케 우주선을 발사할 예정입니다. 또 미국에는 소행성 채굴을 준비하는 민간 기업들도 있습니다. ‘플래니터리 리소시스’와 ‘딥 스페이스 인더스트리’ 등이 대표적입니다. 딥 ... ...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분야의 콘텐츠를 제작하며 관련 내용으로 강의를 하면서 각지의 학생들과 만난다. 2022년 11월부터는 KBS라디오에서 ‘하우영의 하우투사이언스’ 코너로 전국의 청취자들과도 만나고 있다. 이런 나의 요즘 목표는 네 가지다. 첫째는 과학 발명을 좋아하는 1000명의 학생들을 매년 만나는 것이다. 202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내 전방카메라가 이이연의 물기가 가득한 눈과 올라간 입꼬리를 본다. 지난 15년 동안 21번의 마라톤에 참가해 20회 완주한 끝에 나는 깨닫는다. 그렇게 나는 또 다른 사용자를 만났고, 앞으로 우린 한동안 함께 달릴 것임을. 끝내 또 다른 시작을 발견하는 인간의 무모함에 내가 조응하게 되었다는 ... ...
- 두 번째 질문 I 수학에선 무한을 어떻게 정의할까?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귀납법’이 이에요. n = 1일 때 성립함을 보이고, n = k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한 뒤 n = k + 1이 성립함을 보이면 어떤 무한한 계산이라도 참과 거짓을 증명할 수 있지요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비밀 댓글로 풀이를 단다.❸ 댓글로 풀이를 적고 나면 정답 확인 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1차로 폴리매스 멘토가 검토 후 오류가 없으면 문제 출제자가 최종 검토해 문제 해결 여부를 결정한다.❹ 정답이면 출제자가 문제를 푸는 데 기여한 회원을 판단해 해당 문제 풀이와 수학 공부 법, 진로, 진학 등 ... ...
- [과학영상 읽어줌] ChatGPT에게 수능과 토익을 풀게 해 봤다. 결과는 충격적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아라비아 숫자 탄생의 역사를 확인해 보세요! ●근력으로 쥐덫을 벗어난 쥐 조회 수 : 41만 회채널명 : WLDO (구독자 수 : 39.8만 명)으라차차! 쥐덫에 꼼짝없이 갇힌 쥐가 역기를 다루듯 쥐덫을 번쩍 들어 올렸어요. 놀랍게도 광고 속 이 장면은 컴퓨터그래픽(CG)이 아닌 실제 로봇으로 촬영한 장면입니다. ...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머리카락이 자라는 전체 면적이 628cm2임을 어림했으므로, 전체 머리카락의 개수는 628(cm2)×100(개)=62800(개), 즉 약 6만 3천 개라고 구할 수 있죠. 한편, 머리카락은 매일 약 50~100개가 빠집니다. 머리카락은 보통 3~8년에 거쳐 성장하는데 성장기에는 빠지지 않죠. 하지만 머리카락이 성장을 멈추면 약 . ...
- [특집] 이것들도 과학이라 부를 수 있을까? 모아봤다, 가짜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이것들도 과학이라 부를 수 있을까? 모아봤다, 가짜들Part1. [특집] 기업이 만들어낸 가짜 과학, 청부과학Part2.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 ...
- [특집] 기업이 만들어낸 가짜 과학, 청부과학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관해 조사한 후 법적 판단과 별개로 “연구 부정행위가 명백하다”고 결론내렸다. 2011년 한국의 과학자들이 가습기 살균제 회사를 위해 수행한 연구를 보면, 앞서 살펴 본 해외 사례와 놀랍도록 닮았다. 기업은 자신들의 이익 추구에 방해가 되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뒤집기 위해 청부과학자를 ... ...
- 생성형 AI가 그린 그림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어떻게 배분해야하는지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전정현 1990년대, 기술입국의 꿈을 안고 서울대 전기공학부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공학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에 더욱 관심을 가지며 사법시험을 통해 법조계에 입문했다. 미드에 속아 로펌에 입사한 뒤로는 쓸 곳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