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GPS, 자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모두 모으면 공 모양의 ‘구’가 만들어지죠. 예를 들어 바닥에 점을 찍고 이 점으로부터 1cm 떨어진 점들을 찾아보세요. 점들을 찍다 보면 원이 만들어져요. 이 영역 속에서 GPS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려면 3개의 인공위성이 더 필요해요. 4개의 인공위성이 추정한 구의 영역과 모두 겹치는 ... ...
- [피플] 카파렐리 교수의 업적 BEST 3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또 특이점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내는 방법도 고안했지요. 이 방법을 이용해 2021년 피갈리 교수팀은 특이점이 매우 드물게 있다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업적 3.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실마리 제시하다 카파렐리 교수는 100만 달러(한화 13억 1900만원)의 상금이 걸린 밀레니엄 난제인 나비에 ... ...
- [Data Math] 오스카 수상 예측 비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꽤 성공적인 결과가 나왔다. 20개 중 15개 부문에서 예측이 들어맞은 것이다. 2017년과 2021년에는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적중했다. 올해는 작품상을 포함해 14개 부문에서 예측을 성공했다. 지금까지 열두 해 동안 예측한 오스카 수상 적중률은 77%나 된다. 아쉽게도 현재 소속된 야구팀과의 ...
- [Reth?nking] 기하학에서 재다의 의미는?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유명한 예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대각선의 길이가 있습니다. 한 변의 길이가 1이라면, 대각선의 길이는 가 될 텐데 당시 무리수는 비로 표현할 수 없었습니다. 만약에 두 도형이 통약 가능해서 공통으로 재는 단위가 있다면 그다음 관심사는 두 도형 사이에서 길이의 관계, 넓이의 관계를 ... ...
- [수학 체험 유랑단] 원데이 컬러링 아트 수업, 원으로 그리는 정다각형 작도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둘레보다는 길다는 점을 이용했지요. 그 정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정6각형, 정12각형, 정24각형과 같이 2배씩 늘리다가 정96각형에 이르면 원주율에 아주 가까운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해 정96각형이 원이랑 굉장히 형태가 비슷하다는 건데, 진짜인지 직접 작도하며 확인해 보세요 ... ...
- [과학뉴스] 빨간 물 마실까, 파란물마실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 수용체를 알카라고 명명했다. 동물이 적정 수준의 체내 산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식품의 산성도를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간 산성을 감지하는, 즉 신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는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져있었지만 알칼리성 미각 수용체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 ...
- [뉴스&인터뷰] 밤새 별하늘을 달리는 축제 '메시에 마라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연구의 산물이다. 학자들에게는 이제 7만 3197개 은하를 담은 ‘주요 은하 목록(PGC)’, 11만 8218개 항성을 분류한 ‘히파르코스 목록’ 등이 훨씬 정확하고 자세한 우주의 길잡이다. 하지만 밝고 잘 보이는 천체들이 모여있다는 점에서, 메시에 목록은 여전히 낭만적인 목표다. 하룻밤을 꼬박 새게 ... ...
- [뉴스&인터뷰] 도전, 우주로 가는 길을 만드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한국 민간기업 최초로 독자 개발한 우주발사체 한빛-TLV가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15톤급 1단 엔진이 사용됐으며 브라질 항공과학기술부가 개발 중인 관성항법시스템을 탑재체로 싣고 발사됐다. 4월 7일 이노스페이스 동탄 지사에서 강호철, 공문성 이노스페이스 항공우주연구소 전자제어팀 ... ...
-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퀴리의 노벨상 메달부터 따져보자.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마리 퀴리는 1903년 물리학상, 1911년 화학상으로 2개의 메달을 받았다. 다음으로 남편 피에르 퀴리.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은 남편 피에르 퀴리와의 공동 수상이었으므로 남편도 노벨상 메달을 받았다. 이것까지 포함하면 3개.남은 2개 메달의 ... ...
- [영화 속 SF]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영화 속 개조생명체들은 실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라는 단백질 덕분입니다. 연구진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백색 지방 전구세포에 UCP1을 다량 발현시켰습니다. 그 결과 갈색 지방 비중이 늘어난 생쥐는 동일한 식단을 먹은 일반 생쥐에 비해 체중이 덜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볼 때 얼굴 생김새를 결정짓는 정확한 유전자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