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도달할 수 있는 과학로켓을 개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내년 발사를 목표로 10km 이상 비행 가능한 과학로켓을 개발 중”이라며 “국내에서는 발사가 어려워 미국 모하비 사막에 있는 민간운영 발사장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장기적으로는 초소형 인공위성인 큐브샛을 지구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인공은 시간의 단위 ‘초’ 이번에 바뀐 4개 단위는 내년 ‘세계 측정의 날’인 5월 20일부터 적용된다. 하지만 단위의 정의가 바뀌었다고 해서 일상생활에서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고기, 채소의 무게를 달거나 운동선수의 기록을 측정할 때는 전과 동일하다. 다만 과학계나 산업현장에서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타키온 II를 활용한 연구가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논문으로 게재된 건 1000편이 넘는다. ‘누리온’이라는 이름은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최 원장은 “누리온은 ‘우리가 다 함께 누리는 슈퍼컴퓨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며 “이름에 걸맞게 국민 모두가 슈퍼컴퓨터의 혜택을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방법으로 중성미자 검출기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원자로에서는 초당 1000만W 출력일 때 대략 2해 개(2X1020)개의 중성미자가 생성되는데, 이렇게 생성되는 중성미자의 개수가 원자로의 열 출력에 비례한다는 점을 고려해 원자로의 가동 여부를 추적한다는 아이디어다.doi:10.1126/science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여러 나라가 합성 엽산을 밀가루에 첨가하는 공중보건법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2017년 10월을 기준으로, 전 세계 81개 국가가 엽산 섭취를 돕기 위해 밀가루에 엽산을 첨가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doi:10.1186/s40985-018-0079-6 “엽산 섭취 강제할 수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도 치매에 걸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중증, 34점 이상이면 고도의 인지기능 장애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개의 경우 8~10년령의 3.4%, 10~12년령의 5%, 12~13년령의 23.3%, 그리고 14년령 이상의 41%가 치매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doi:10.1016/j.tvjl.2009.11.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사각형을 찾는 문제는 어려운 것 중 하나죠. 정사각형은 100년 넘게 답을 못 찾고 있지만, 직사각형 찾는 문제는 이미 한참 전에 해결됐습니다.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위상수학의 방법을 이용해 멋지게 증명했지요. 원하는 모양의 사각형은 없을까? 가로세로 ... ...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좌우, 위아래, 대각선 방향으로 뒤집는 대칭, 시계방향으로 각각 90°, 180°, 270°, 360° 회전하는 대칭이지요. 이제 한 가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어떤 라틴방진을 8가지 방법으로 대칭시켜서 본래 라틴방진과 직교라틴방진을 이루는 라틴방진을 찾을 수 있을까요? 저는 모든 크기의 라틴방진에 대해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몸을 뒤로 젖힌 채 팔을 들고 일해야 하는 작업자의 힘을 보조해주는 시스템이다. 최대 60kg를 추가로 들 수 있어 목과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다. ● “내 팔과 다리 속에 총 66개의 전도체가 심어져 있어요” #Scene 3 이수연의 웨어러블 장치는 한여름을 만나면서 오작동이 발생해 ... ...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증명에 사용한 BSD 추측은 미국 클레이재단이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건 밀레니엄 문제의 하나로, 아직 증명되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골드펠드 추측이 완전히 풀린 것은 아닙니다. 최영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오랫동안 해결의 실마리조차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