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프로젝트] 동전으로 2파운드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있고요. 답은 두 경우의 가짓수를 더한 것이 돼요. 재귀는 이런식으로 만들 금액이
0
이 되거나 더 이상 제외할 동전 종류가 없을 때까지 계속 구하는 방식이에요.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이 방식이 좀 어렵기 때문에, 관련된 공부를 먼저 하고 도전하는 것을 권합니다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칼슘 통로가 원활히 열리지 않는 셈이다. 이 내용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
0
18년 1
0
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
0
.1
0
73/pnas.18
0
9762115 서 교수는 “베타 소단위체와 여기에 PIP2가 결합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 지 정확한 기작을 밝혀내는 게 목표”라며 “이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모든 숙제를 후대 수학자에게 맡겼습니다. 올해는 그가 리만 가설을 발표한 지 16
0
년이 되는 해입니다. 지금도 인류 최고의 수학자들은 리만이 남긴 소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도전하고 있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벽에 닿으면 플라스마가 식어 버리고, 핵융합로도 파괴될 테니깐요. 지금까지는 195
0
년대 구소련에서 발명된 ‘토카막’이 플라스마를 담는 장치로 가장 많이 쓰인답니다. 도넛 모양으로,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가두지요. 앞으로 핵융합 발전을 사용하기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이 많아요. ... ...
[기획] 2
0
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미국 듀크대학교 생물학과의 엘리너 케이브스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동물 6
00
여 종의 시력을 비교했어요. 지금까지 나온 동물의 눈에 관한 연구를 모은 다음,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동물의 눈으로 보는 풍경을 재현했지요. 분석 결과 시력은 동물에 따라 만 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있었어요. 이는 22만km2인 한반도 면적보다 넓답니다. 가장 오래된 흰개미 언덕은 약 382
0
년 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돼요. 연구팀은 흰개미 언덕이 있는 지역이 ‘카팅가 관목지대’에 있어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고 추측했어요. 카팅가 관목지대는 우기에는 초록색 잎으로 우거진 나무들이 흰개미 ... ...
[과학뉴스] 역사상 처음! 4개 기본단위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켈빈(K), 총 4개의 기본단위가 새롭게 정의됐어요. 재정의된 4개의 기본 단위는 내년 5월 2
0
일 세계 측정의 날부터 적용돼요. 기본단위 중 4개가 한꺼번에 바뀌는 건 역사상 처음이랍니다. 단위의 기준이 변하면 측정값도 달라지기 때문에 기본단위는 시간이나 공간에 상관없이 항상 같아야 해요.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기술을 엿보다! 탐방 대원들은 IT 관련 기관들을 탐방하는 시간도 가졌어요. 가장 먼저 1
00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립 타이베이 과학기술대학교의 ‘인더스트리 4.
0
센터’를 찾았어요. 이 센터는 공장의 모든 과정을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곳이에요. “생산공장의 모든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수 있단 걸 확인했어요. 이 정도면 3
0
t(톤)이 넘는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답니다. 앞으로 2
0
2
0
년, 실제 바다에서 테스트를 거쳐 2
0
22년까지 상용화하는 게 목표예요. 그때가 되면 친구들도 바다에서 야라 버클랜드호를 만날 수 있을 거예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불러요. 1856년에 영국의 천문학자 포그슨은 1등급과 6등급 별의 밝기 차이가 1
00
배라는 점을 밝혀내고, 겉보기등급을 수학적으로 다시 정리했어요. 한 등급 올라갈 때마다 지구에서 관측하는 별의 밝기는 약 2.5배씩 밝아지지요. 하지만 겉보기등급은 실제 별의 밝기와는 차이가 있어요. 별이 아무리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