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사물] 평양냉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뚝뚝 끊어집니다. 맛있는 냉면은 몸에도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이정은 서울대 식품영양
학과
교수는 “메밀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성분인 루틴(Rutin)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가올 여름은 평양냉면으로 시작하면 어떨까요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혈관부종과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 후보물질 개발에도 성공했다. 권영근 연세대 생화
학과
교수는 “시스테인의 위치와 다리를 이루는 물질을 바꿔 다양한 펩타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7-018-0042-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성능을 인정받았다. 가동 이후 첫 연구자가 된 앤더스 닐슨 스웨덴 스톡홀름대 물리
학과
교수팀이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사이언스’ 지난해 12월 22일자에 게재한 것이다. 연구팀은 물 분자 구조의 변화를 연구했다. 물은 4도에서 가장 밀도가 큰 상태가 되는데, 이 때문에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운영하며 전형별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세대의 교육 과정 가운데 다른 대
학과
가장 차별화된 부분은 2014년 국내 최초로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을 도입한 것이다. RC 프로그램은 그간 재학생들에게 단순한 거주 공간이었던 기숙사를 생활체험 교육 공간으로 전환해 학습활동과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필요하다. 관련
학과
로는 에너지자원공
학과
, 바이오에너지공
학과
, 신재생에너지공
학과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추세인 만큼 바이오에너지 연구자의 수요는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모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해본 뒤 자신에게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점검했다. 우주항공공
학과
관련해 자신을 소개할 요소들이 부족하다고 느낀 이 씨는 3학년 이라는 부담이 있었지만 우주항공과 관련한 활동을 하려고 노력했다. 가령 지구과학2 과목에서 배운 여러 종류의 바람이 항공기에 미치는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주요
학과
에서 선발하는 인원이 모집단위별로 소폭 증가했다는 점이다. 이는 소위 비선호
학과
들의 실질적인 경쟁률이 낮아서, 논술 성적에 따른 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무의미해지면서 나타난 결과로 추정된다. 수능 전에 논술고사를 실시했던 2016학년도와 2017학년도의 실질 경쟁률과 충원율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아드리안 노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음악심리
학과
교수는 3만 6518명을 대상으로 좋아하는 음악 장르와 성격의 관련성을 연구했습니다. 교수팀은 어떤 사람이 무슨 곡을 좋아하는지 알면 그 사람의 성격도 유추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재즈와 클래식을 ... ...
[과학뉴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행동에 관여하는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앤드류 후버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생물
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맹금류가 무섭게 달려드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했다. 일반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뇌는 공포를 담당하는 ... ...
[과학뉴스]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멜라닌세포가 생기지 않아 흰 머리카락이 난다. 멜리사 해리스 앨라배마대 생물
학과
교수는 이전 쥐 실험에서 ‘MITF’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줄기세포와 멜라닌세포가 사라져 털이 하얘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그런데 이번에는 이 유전자 변이가 털 색깔뿐 아니라 바이러스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