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혈액
혐의
혐오
껍질
껍찔
각질
껍데기
d라이브러리
"
피
"(으)로 총 1,489건 검색되었습니다.
란트슈타이너, 인간의 혈액형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이르자 수혈은 의료행위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게 됐다. 또 수혈하기 위해 모은
피
를 응고하지 않도록 구연산나트룸을 첨가해 저장하는 방법도 발견돼 혈액은행이 탄생할 수 있었다.란트슈타인은 제1차 세계대전으로 조국 오스트리아가 폐허가 되자, 미국으로 건너가 1929년 그곳 시민이 됐다.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너무 많이 잃어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몸에서 만들어진 노폐물의 하나로 어차
피
버려야 할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가는 것이 무슨 문제가 될까.혈액의 pH는 몸 안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대사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의 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매우 정교하기 때문에 온도가 1℃만 바뀌거나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피
부 건강이나 미용적인 면에서 다른 인종에 비해 월등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좋은
피
부를 물려준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 모두가 조상들께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 아닐까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조류나 포유류의 근육을 붉그스름하게 보 이도록 하는 물질이다. 즉 고기가 붉은 것은
피
때문이 아니라 미오글로빈 때문이다. 물론 다랑어처럼 활동량이 많은 어류는 근육에 미오글로빈이 많아 붉은색을 띤다.⑨에너지 잡는 뚜껑라면을 끓이려고 물을 부은 냄비를 불에 올려 놓았다. 조금이라도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75세)박사가 사망 직전 냉동상태에 돌입함으로써 냉동인간 1호를 기록했다. 그는 체내의
피
를 전부 빼내고 대신 동결보호제를 체내에 주입해 액체질소로 영하 196℃를 유지하는 금속 탱크에 넣어졌다. 그 후 많은 냉동인간 후보들이 자원을 했고, 현재 미국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에는 냉동캡슐 에 3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시간을 줄여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전투에 함께 참여했던 많은 증인들은 그가 "매우
피
로하고 잠을 충분히 못잤다"는 불평을 자주 했다고 전한다.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4시간 간격으로 15분씩 잠을 잤다고 전해진다. 하루에 1시간 30분 정도 수면을 취한 셈이다. 그러나 한 수면학자는 다 빈치가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부산물이다. 자유라디칼이 주변의 생체조직과 결합해 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몸에
피
해를 일으킨다는 설명이다.수명이 한정적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가설 가운데 하나가 ‘헤이프릭의 한계설’이다. 1960년대 미국의 생물학자 헤이프릭은 정상세포가 영원히 살 수 있는 게 아니며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연구는 질병에 강한 박테리아의 유전자가 콩과식물의 묘목으로 어떻게 옮겨지는지를 살
피
는 일이다. 만약 이 연구가 성공한다면 유전자 이식을 통해 질병에 강한 콩과식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글렌이 해야할 마지막 일은 절연력과 에너지 보관력이 뛰어난 에어로젤(Aerogel)을 실험하고, 인체에 ...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아니라, 수돗물을 불소화하기 위해 불화규산을 투입하는 공정관리의 소홀로 시민들이
피
해를 입는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몇년전 진해시에서는 불소투입장치가 고장나 2년정도 불소투입을 하지 않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진해시측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일반에 알리지 않고 있었으며, ... ...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방어수단이다.상처가 나면 항체보다도 제일 먼저 알고 달려오는 것이 식세포다(실은
피
를 타고 돌던 것이 상처 부위를 알아차리고 그곳에 달라붙는다). 보통 식세포는 세균 20마리 정도를 잡아먹고 수명을 마치지만 대식세포는 1백개까지 먹어서 녹인다. 이들 세포는 아메바처럼 기어가 병균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