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혈액
혐의
혐오
껍질
껍찔
각질
껍데기
d라이브러리
"
피
"(으)로 총 1,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의도적으로 많은 양의 초과산화물을 만들어낸다. 백혈구가 인체에 치명적인
피
해를 주는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만나면 백혈구의 막에 결합된 ‘NADPH 산화효소’가 활성화된다. 그러면 혈액 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이용해서 초과산화물(${O₂}^{-}$)이 대량으로 만들어진다. 초과산화물 자체는 병원체에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다음과 같다. 끊어진 장의 양끝이 다 보이면 빨리 바늘과 실로 꿰맨 다음 닭 벼슬의
피
를 발라서 기운이 새지 않게 하고 빨리 뱃속으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 이처럼 바늘과 실을 써서 꿰매는 방법은 오늘날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봉합술과 그 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다.마지막으로 한의학의 ... ...
2. 살아있는 백신, 죽은 백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가능성이 실현될 것처럼 보인 사례가 발견됐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에이즈 감염자의
피
를 수혈받은 10여명의 환자들이 15년이 지나도록 병의 증상을 보이지 않은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들의 혈액에서 발견된 에이즈 바이러스(HIV)는 유전자의 일부가 결손돼 있었다. 약독화된 에이즈 백신 개발에 ... ...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가운데 제일 부자는 누구일까.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과 전세계에 흩어져있는 한민족
피
를 이어받은 사람 모두를 합쳐 최고의 갑부를 꼽으라면 단연 손정의(孫正義,43세,일본명 손 마사요시) 일본 소프트뱅크 사장이다.호주의 일간지 ‘디 오스트레일리언’은 지난 1월말 손정의사장을 아시아 최고의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기능을 지닌 직물이 여러겹 겹쳐져서 만들어진다. 우주인의
피
부에 가장 가까운 쪽에는 국수가닥과 같이 생긴 플라스틱 튜브를 약 92m 가량 직물 속에 넣어서 만든 옷이 있다. 이것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승무원들이 우주공간에서 활동할 때 우주복 내부의 온도가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으며, 꼬이지 않고 잘 꿰맬 수 있어야 하며, 혈관 내에서 혈전(
피
가 굳어서 된 고형물)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그래야 혈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기 때문이다.진짜 뼈처럼 자라기도금속재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이오 세라믹스다. 여기에는 알루미나,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몸을 감싼 갑옷공룡(곡룡류) 안킬로사우리아 그룹이 있다. 조반류에서 골판모양의
피
부는 2억년 전부터 진화했다는 것은 스쿠텔로사우루스와 실리도사우루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천장을 가진 파충류’란 뜻을 지닌 스테고사우리아는 거의 전세계에 분포했다. 이들은 네발로 걸었으며, 머리가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발견됐다. 따라서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동일한 치료법을 적용할 수 없다. 그런데 어
피
메트릭사의 HIV용 DNA칩은 환자들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를 어렵지 않게 검사해 각자에게 적절한 약물이나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게 해준다. 칩에서 나타난 반응 결과들을 비교해보면 환자들 간의 미세한 차이점을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의 출혈일 경우는 대변의 겉에 빨간색의
피
가 묻어나온다. 양과 색깔에 관계없이 대변에
피
가 묻어있을 때는 내장 출혈을 의심하고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일반적으로 대변은 물 속에 가라앉는다. 만약 대변이 물위에 뜨면서 기름방울이 있고, 흰 점토 같은 색을 띠면 지방변을 의심할 수 있다.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부작용이 심했던 진통제 살리실산의 구조를 바꾼 결과물이 우리에게 익숙한 아스
피
린이다. 또 고혈압치료제 페녹시벤자민은 1950년대 인체 호르몬 아드레날린의 구조를 살짝 바꾸어 만들었다. 페녹시벤자민은 몸 속에서 마치 아드레날린처럼 행세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드레날린의 기능을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