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7화. 우주순찰대, 본부에 잠입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딱지는 몸이 좀 이상해지는 걸 느꼈습니다. 숨을 쉬기 어렵고 정신이 몽롱했습니다.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후후후. 엘리베이터의 공기를 빼고 있다. 뭐하러 로봇을 보내 싸우겠냐? 기절시킨 뒤에 그냥 가두면 되지.”딱지의 눈앞이 까매졌습니다.시간이 얼마나 흘렀을까요. 딱지는 눈을 ... ...
- [가상 인터뷰] 눈으로 안 봐도 간지럼은 전염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몸을 긁는 친구가 있을 때, 따라서 몸이 간지럽다고 느끼고 긁은 적 있니? 너희 같은 사람뿐 아니라 우리 쥐들도 친구를 따라 몸을 긁어. 이러한 사실은 2017년,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저우펑 첸 교수팀이 우리 실험 쥐들로 연구해 밝혀낸 바 있어. 당시 연구팀은 다른 쥐가 긁는 모습을 모니터로 ... ...
- [기획] 가지각색 전 세계의 생일 축하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멘델 광장의 기념비. 완두콩과 유전법칙을 형상화했으며, 기념비 제작에 큰 기여를 한 사람들의 DNA가 기념비 내부에 보관될 예정이다. 멘델 탄생 200주년 기념 주화체코국립은행은 7월 20일 멘델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기념 은화를 발행했다. 앞면에는 멘델의 얼굴, 뒷면에는 유전자 조합표와 4개의 ... ...
- [현장취재 2] 18 어과동 팬파티 독자와 함께하는 생일 대잔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윤태인 기자가 제시어를 두 작가와 이창욱 기자에게만 공개하면, 세 사람은 그 단어에 맞는 그림을 30초 만에 그려야 했지요. 어과동 기자와 디자이너들, 생중계 참여 시청자들은 제시어를 모른 채 그림만 보고 정답을 맞히는 거예요. 윤태인 기자가 제시어를 보여주자 작가님들 사이에서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정도로 작은 난쟁이투명상어까지 다양한 상어가 있지요.이중 사람을 해칠 수 있는 상어는 전체의 10% 정도에 불과합니다.또한, 상어는 매우 오래전인 약 4억 5000만 년 전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후기부터 진화해 온 생물입니다. 하지만 살아온 세월에 비해 상어 화석은 매우 찾기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풍선들이 터져 버리고 말았지요. 누가 풍선을 터뜨려버린 걸까요? 풍선을 터뜨린 건 사람이 아닌 오렌지 껍질이었습니다. 오렌지를 먹다가 껍질을 풍선 근처에 놔둔 결과 일어난 참사였지요.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비밀은 껍질 속에 들어 있는 리모넨이라는 물질 때문이에요. 리모넨은 어떤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나는야 어과동의 귀염둥이 마녀 일리! 정글을 탐험하다 도마뱀 무리를 만났어. 그런데 최고 어르신으로 보이는 도마뱀이 어린 도마뱀에게 조 ... 파장이 짧아요. 덕분에 지형은 물론 단일 분자까지 감지할 수 있어요. 라이더는 자율주행차에서 사람의 눈을 대신할 기술로 기대받고 있답니다 ... ...
- [출동! 슈퍼M] “가위로 원을 자르는 건 왜 어렵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가위 날의 길이만큼 종이가 직선으로 잘리게 돼요. 가위로 종이를 자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선보다 곡선을 자르는 게 더 어렵다고 느껴요. 왜 그럴까요? 그런데 원에는 직선이 없으므로 왼쪽 그림처럼 가위질을 훨씬 더 많이 해야 해요. 또는 곡선 모양에 따라 가위나 종이의 방향을 계속 바꿔 ... ...
- [기획] 성공의 비결, 능력이냐 운이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성과가 좋았던 사람만 지원할 게 아니라, 지원금을 무작위로 나눠줘야 재능 있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며, “우리가 이그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것도 운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답니다. 2022 Ig Nobel 시상식앗! 기사에 못 담은 수상자 ... ...
- [JOB터뷰] 문학이 과학을 만나는 순간 SF작가 천선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따로 있나요?소설 쓰기의 전략은 다름 아닌 ‘완성’이에요. 다 쓰기도 전에 이 작품을 사람들이 좋아할까 혹은 별로라고 느낄까 같은 평가는 하지 않아야 해요. 소설은 다른 장르보다 분량이 많은 편이라 아주 세부적으로는 계획하고 쓸 수 없어요. 저는 보통 처음, 중간, 마무리 정도만 잡아둬요.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