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신
기분
생각
감정
가슴
심정
영혼
d라이브러리
"
마음
"(으)로 총 4,591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끝난다.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종종 상상해 보는 모습일 것이다. 강속구는 관객의
마음
을 사이다처럼 시원하게 만드는 야구의 묘미다. 하지만 투수의 무기에는 강속구만 있지 않다. 아래로 뚝 떨어지고 옆으로 휘어지는 변화구 역시 타자들을 당황하게 만드는 무기다. 타자를 놀리듯 방망이를 ... ...
Part 1. 장애는 연구에 방해가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않았어. 그저 움직이기가 조금 불편했을 뿐, 연구엔 전혀 방해가 되지 않았거든. 제
마음
안에서 저는 자유롭습니다”스티븐 호킹 박사는 1963년 21살이 되던 어느 날, 갑자기 몸이 조금씩 불편해지는 것을 느꼈어요. 그를 평생 옭아맨 ‘루게릭병’의 시작이었지요. 이 병은 온몸의 운동신경세포가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저도 학부생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쓴 교수님의 논문을 보고 제자가 되기로
마음
먹었거든요. 전 지도 교수님과 친해지고 싶은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 이석형입니다. 박사과정 1년 차 때 교수님께서 필즈상을 받으시면서 갑자기 엄청나게 바빠지셨어요. 세계수학자대회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갖게 된 곽 씨는 “나라의 에너지 문제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데 기여하고 싶다는
마음
으로 원자핵공학과에 진학했다”고 말했다.그는 자기소개서에 자신이 어떤 내면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를 담아내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자신이 했던 활동에 대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는 만큼 ...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수 있을 만큼 거대해. 친구들도 머리와
마음
속에 상상력의 세계를
마음
껏 펼쳐 봐! 그러면 내 머릿속에 펼쳐졌던 우주보다 더 거대한 우주를 그릴 수 있을 거야~! 호킹 박사의 마지막 질문 : 지구는 영원할까?“저는 앞으로 지구가 1000년 뒤에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드러났다. 커다란 액자 뒤엔 탈출구라 쓰인 철문이 있었다. “진짜 출구야!” 벅찬
마음
에 당장 손잡이를 돌렸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다. 철문 위에는 수가 쓰인 나사가 여기저기 붙어있었다. 그리고 문 주위로 전선이 잔뜩 연결돼 있었다. “이 암호만 풀면 나갈 수 있을 거야.”“하지만 이게 무슨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호킹 박사를 기리며, 그의 삶을 함께 돌아보아요. “비록 내가 움직일 수 없어도
마음
속에서 나는 자유롭다.” 1963년, 호킹 박사는 21살이 되던 해에 병원에서 루게릭병을 진단받으며 1~2년 정도 더 살 수 있을 거란 시한부 선고를 받았어요. 루게릭병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이라고도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그리고 원래보다 더 강력한 문제를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가구의 크기를
마음
대로 몇 배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신기한 가구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가구를 각 θ 방향으로 놓았을 때 가구를 최대 몇 배 늘리거나 줄였을 때 방에 넣을 수 있는지 잰 값을 f(θ), 가구의 중심을 어디로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뒤 40°만큼 더 돈 거니까 처음부터 40°를 돈 것과 차이가 없는 거지요! ‘도(°)’는
마음
속에~.방송을 보고 있는 초등학생, 중학생 여러분께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을 알려주도록 하죠. 먼저 좋은 소식은 중학교를 졸업하는 순간 각도의 단위인 ‘도(°)’를 볼 일이 거의 없다는 겁니다. ‘각도를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경이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과 그 경이로움을 나누고 싶은
마음
이 자연스레 생기지요.”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소통하는 과학자’로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하다. 대중에게 과학의 어려운 이론을 이해시키려하기 보다는 과학의 경이로움을 소통한다. 그는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