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3 신원소 발견의 도시, 와코시’. 와코시 전철역에서 이화학연구소까지 약 1.1km에 이르는 길에는 1번 수소(H)부터 113번 니호늄(Nh)까지 1.2m간격으로 원소 표석을 세워 놨다. 장기 연구 안정적 지원이화학연구소의 경쟁력은 기초과학에 대한 일본 정부와 사회의 아낌없는 지원이 밑거름이 됐다. 이는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심 놀이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새끼 손톱만 한 검정색 개미의 정식 명칭은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다. 그런데 겨울이 되면 그 흔했던 일본왕개미조차 눈에 잘 띄지 않 ... 종이다. 이로써 네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해 겨울 개미를 찾는데 성공했다. 독자 여러분도 도전해 보시길!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식률은 1000명 기준 99% 이상으로 꽤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미간에 주름이 생길 정도로 얼굴을 찌푸리자 “화남(angry)”이라는 메시지가 뜬다. 입을 시옷(ㅅ)자 모양으로 만들었더니 금세 “슬픔(sad)”으로 바뀌었다. 윤 책임연구원은 “딥미러는 스스로 학습하는 AI인 만큼 어떤 단계를 거쳐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분하다. 그러나 통계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HIV는 잠복기가 길어서 감염 시점과 진단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통계는 정확히 말하면 올해 ‘감염’된 사람이 아니라 올해 ‘진단’된 사람을 의미한다. 최 교수는 “한국의 HIV 유병률은 0.02% 미만으로 집계되는데,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들을 폭로하고, 젊은이들의 방향감각을 혼란시켜, 그들이 다시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자”(미국 하버드대 교양교육혁신위원회 보고서 발췌)교육한다. 그리고 이렇게 쌓은 노하우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냈다. 이 책은 과학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면서, 유명한 발견과 발명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오지 여행가 ‘ 바라프게 다가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룰루랄라~♬ 신나는 여행~!”아름다운 계절을 즐기기 위해 걷기 여행을 떠나기로 한 썰렁홈즈.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이라 짐을 싸면서 자신도 모르게 콧 ... 울렸다.“썰렁홈즈님! 저는 여행가 ‘바라프게 다가마’예요. 오지 여행을 하고 있었는데 그만 길을 잃고 말았어요. 도와 주세요 ... ...
- 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볼 때는 짧은 시간 안에 산림이 모두 회복된 것만 같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아직 갈 길이 멀어요. 현재 산불지에서 자란 소나무의 키는 산불이 나기 전과 비교해 40~70% 정도밖에 안되거든요. 그동안 토양의 양분이 늘긴 했지만, 산불 이전과 비교해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고성의 토양이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입자 4개의 위치가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함수로 표현되는 것이다. 하나의 목적지로 가는 길이 두 개인 셈이다. 4개의 마요라나 페르미온이 위치를 서로 바꿔, 같은 위치에 정확히 돌아가더라도 이 상태를 기술하는 함수가 달라진다. 즉, 위치를 교환하는 ‘순서’를 이용해 연산한다. 이 순서는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목표했던 감도에 도달했고, 2007년부터는 유럽 중력파 관측소 ‘버고(Virgo)’까지 가세해 삼중 관측이 진행됐다. 201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상수를 고정함으로써, 아주 낮은 온도나 높은 온도에서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런 변화는 1983년 빛의 속도 값을 고정해 미터의 정의를 바꾼 이후 가장 큰 변화다. 물론 실제로 연구 현장에서 실험을 하는 과학자들조차 거의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느껴서도 안 된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