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1,59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04
원인을 기륜으로 설명그에 따르면, 모든 천체는 둘레에 지구의 대기권과 같은 공기
층
인 기륜(氣輪)이 있어 이들이 항상 상호작용하고 있다. 그는 우주 공간의 어디에서든 기가 없는 진공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기철학의 입장에서 보면 기가 없는 진공이란 변화와 생성이 없는 죽은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필름을 별도로 만드는 이유는 무엇일까.포지티브 필름과 네거티브 필름의 큰 차이는 유제
층
의 성분에 있다. 즉 포지티브의 경우 염료의 종류와 할로겐화은의 양이 훨씬 많다. 네거티브에 비해 훨씬 실제와 가까운 상을 기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자연 풍경을 사람들에게 소개할 경우 ... ...
화성에는 지금 화산이 활동중?
과학동아
l
199903
넓이에는 6-70개의 분화구가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오래된 분화구들을 최근에 생성된 용암
층
이 덮어 버린 것으로 추정돼 현재진행형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등이 분포하며 그 아래에 신경이 뻗어있다. 진피 아래에는 지방세포로 된 피하지방
층
이 있어서 양분을 저장하고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단열 기능을 수행한다.또 피부에서는 호흡이 일어난다. 더울 때에는 피부의 혈관이 확장돼 열이 밖으로 나가고, 땀샘에서 땀을 흘려 기화열로 체온을 낮춘다.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03
사용하는 동일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상 특별한 어려움은 없다. 또한
층
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질의 내부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현재 사용되는 박막 전지가 모두 1차전지(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라는 단점이 있지만 앞으로 2차전지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
과학동아
l
199902
따라 서로 흩어지면서 성단 자체가 붕괴되기 때문이다.우리은하에서 성단이 분포된
층
의 두께는 약 2백30광년 정도인데, 이는 은하 전체와 비교할 때 굉장히 작은 것이다. 만약 우리은하를 지름 12cm의 CD 크기로 축소한다면 산개성단들은 지름 1mm 정도인 CD 두께에 해당하는 얇은 공간에 모두 모여있는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02
결합돼 있는 힘은 매우 강하나 아래 위 면들 사이의 결합은 매우 약하다. 따라서 흑연의
층
간 결합은 파괴되기 쉽다. 이것이 연필심이 무른 이유다. 또 흑연의 평면에 수직으로 결합한 전자들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모두 흡수하므로 검은 색을 띤다. 이렇게 보면 연필심으로서 흑연 만한 것이 없는 ... ...
변화무쌍한 얼굴색의 정체
과학동아
l
199901
표피, 진피, 지방
층
의 세
층
으로 구성된다. 멜라닌색소를 만드는 세포는 표피의 제일 아래
층
에 존재한다.멜라닌세포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멜라닌색소를 함유한 멜라노좀을 만들고, 이것이 주변의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함으로써 우리의 피부색을 만들게 된다. 멜라닌세포는 나뭇가지모양의 수많은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12
특징은 PC통신과 음성통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것. 데이터 통신을 많이 하는 젊은
층
을 대상으로 정해진 요금만 내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요금체계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한국통신의 수퍼코넷한국통신의 수퍼코넷(hrrp://128.134.79.17/, 전화 0342-727-2592)은 지금까지 ADSL(Asymetric Dig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11
현재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일한 기술을 쓸 수 있다는 점과
층
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질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992년 미국의 에버레디 배터리사에서 리튬박막전지를 개발해 보고한 이래로 선진 각국의 대학,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