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1,594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성 탐사 우주선 발진 준비
과학동아
l
199908
5백kg의 구리 탄환을 혜성을 향해 발사한다. 충돌결과 혜성에는 축구장 만한 넓이에 7
층
건물높이만큼 깊은 분화구가 생긴다. 영화 딥임팩트 II가 아니다. NASA에서 2004년 발사예정으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내용이다. 공상과학소설처럼 들리는 이 계획의 1차목적은 혜성의 구성물질을 연구하기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08
따라서 공룡알둥지의 복원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들 공룡알과 둥지는 여러
층
에서 산출되고 있기 때문에 과거 이곳은 공룡들이 오랜 기간 집단산란지로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또한 공룡알과 함께 규화된 나무화석, 다양한 흔적화석이 산출됨에 따라 공룡산란지의 정확한 복원연구가 ... ...
2. 태양빛에서 형광색까지
과학동아
l
199908
빛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코팅한 안경렌즈는 무지개색으로 보인다. 이것은 코팅된 4-6
층
의 얇은 막에서 반사된 빛이 간섭을 일으킨 것이다(그림 3). 이것이 간섭색인데 나비의 현란한 색채들은 이러한 간섭색이 많다. 간섭색은 관찰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비온 날 고여있는 물위에 기름이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08
적색거성의 태양은 바깥의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서서히 날려버린다. 90억살이 되면 바깥
층
의 물질은 행성상 성운으로 변하고, 중심부는 쪼그라들어 백색왜성이 된다. 태양이 지구보다 작은 백색왜성이 되는 마지막 단계에서는 한 숟갈의 무게가 5.5t이나 되는 엄청난 밀도를 갖는다. 태양은 1백3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08
속한 것으로 믿어졌다.암컷 오비랩터가 앉아 있는 둥지는 20개의 타원형의 알들이 몇
층
을 이루며 동심원상으로 배열돼 있다. 이런 식으로 배열하려면 어미는 맨 먼저 1m 정도로 동그랗게 구멍을 판 후 웅크리고 앉아 돌면서 하나씩 알을 낳아야 한다. 공룡알들은 큰 끝부분이 위쪽으로 향하게 똑바로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08
앨로사우루스6월 10일, 어제부터 본격적으로 나선 1억4천만년 전의 모리슨
층
에 대한 탐색작업은 오후 늦게까지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비가 온 뒤라 등산화가 진흙탕에 푹푹 빠지고 하루종일 땅만 보니 허리도 아팠다. 온통 진흙으로 도배한 바지를 털고 있을 때, 반대쪽 언덕밑에서 갑자기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개체가 오른쪽으로 감겨있는 개체보다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 퇴적
층
에서 왼쪽으로 감겨있는 것이 더 많았다. 이는 빙기 동안에 수온이 높은 쓰시마해류의 유입이 적었음을 뜻한다.한반도 주변의 대륙붕에 쌓인 퇴적물은 제4기의 마지막 빙기 때 형성된 것이다. 이 퇴적물을 조사하면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3. 보험계리사 김송옥
과학동아
l
199906
시30분 기상. 8시 30분 여의도의 금융감독원 18
층
으로 출근한다. 팀미팅이 없는 날은 곧바로 데스크워크로 들어간다. A 보험사의 책임 준비금과 배당률이 적당한지와 재무구조를 함께 체크하다보니 어느덧 점심시간, 12시. 외부 약속이 없어 동료들과 구내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잠시 휴식. 하던 일을 ... ...
화성에도 지각변동 있었다
과학동아
l
199906
초기 화성에 지각변동이 있었다는 신빙성 있는 증거가 발견됐다. 나사의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 우주선은 과거 화성이 현재의 지구처럼 활동적인 지각변 ... 자기장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는 남반구와 달리 북반구가 활동적인
층
이 사라지고 난 뒤 생성됐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06
세상을 떳다고 한다. 격렬한 물구비가 끝없이 휘돌아가는 동강변의 물길 안쪽 퇴적
층
에는 오래 전부터 드문드문 사람들이 들어와 물고기를 잡거나 밭농사를 지으며 살아오고 있다. 여러 나루터의 마을배는 강건너 일터와 학교로 가는 필수적인 교통수단이다. 강변 마을들을 이어주는 좁은 강변길을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