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스페셜
"
앞
"(으)로 총 2,4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들어 특정인을 대상으로 지키고 싶고 도와주고 싶다는 애착을 크게 느낄수록 그 사람의
앞
길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는 무고한 제 3자를 향해 언어적, 물리적 폭력을 쉽게 휘두르는 현상이 나타난다. 어떤 상대에게 온 마음을 이입할수록 그 사람을 위해서라면 타인을 해치는 비도덕적인 행동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이하일 경우에는 ‘흘러오지 않는다’는 일상적인 표현이 더 적절한 것이다. 후쿠시마
앞
바다에 버린 1조 개의 페트병 중에서 1개가 제주도로 흘러온다고 해서 후쿠시마의 오염물질이 제주도로 ‘온다’고 해서는 안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일부에서 ‘진보’의 과학이라고 인식하는 주장은 진정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시끄러운지 체험하게 되는 것이 한 가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각종 생각과 걱정,
앞
으로의 계획 등등을 떠올리다보면 차분하게 가라앉아야 할 마음이 붕 뜨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늘어나면서 신체적으로도 각성수준이 높아진다. 분명 졸렸던 것 같은데 어느덧 눈이 말똥말똥 떠지고 하나도 졸리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아스파탐은 그나마 나은 인공감미료 아닌가?’ 위장과 소장
앞
부분까지는 단맛수용체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소장에서 분해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 2020년 학술지 ‘영양’에 실린 논문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미각수용체는 혀의 미뢰 뿐 아니라 인체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모두 파악하지 못한 상태이며 당연히 생쥐 뇌의 작동 원리를 모두 이해하는 것은
앞
으로 얼마나 걸릴지 모를 일이다. 따라서 더 문제를 단순화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내가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실에서는 동물의 학습과 기억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스페인 함대는 프라팔가
앞
바다에서 전투를 벌였다. 결과는 영국군의 대승이었다. 노량
앞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그랬던 것처럼 승리를 목전에 두고 적의 총탄에 맞은 넬슨은 “하느님 감사합니다. 저는 제 의무를 다했으니 만족합니다”라는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명으로 40%나 줄었고 교육기관의 수도 반토막이 나버렸다. 다만 과학영재학교의 경우에는
앞
으로도 2개교가 더 문을 열 계획이라고 한다. 학생과 학부모도 대학입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그동안 과열돼버린 과학영재교육을 냉정하게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1일 밝혔다. 분리수거 및 재활용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
으로 만들어질 스마트 점착제 설계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연구팀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특성이 바뀌는 스마트 고분자에 주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열 반응성 스마트 점착제는 상온에서 상용화 제품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Z-DNA’ 구조 규명이 대표 업적으로 언급됐으며 함께 실린 인물 사진도 Z-DNA 모형을
앞
에 둔 모습이었다. 반면 학술지 ‘생화학과학의 경향’에는 좀 더 긴 부고가 실렸다. 여기서는 리치의 ‘위대한 발견’ 9건을 선정했는데, 그 가운데 3건이 tRNA 발견으로 1968년 결정을 만든 연구, 1973년 뼈대 규명,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위키미디어 제공 ● 역지사지가 중요한 이유-입장이 바뀌면 해석도 바뀔 수 있다
앞
에서 소개한 나폴레옹의 일생은 전기에 흔히 나오는 이야기다. 그러나 글을 쓴 사람의 의도에 따라 단순히 읽기만 해서는 정확한 상황을 이해하기 어렵고, 필자의 의도에 따라 판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