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거짓말"(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 민간인 사상자를 콜래트럴 데미지 즉, 부차적 피해(collateral damage)라고 부르는 것이나 거짓말을 ‘다른 버전의 이야기(a different version of the facts)’ 정도로 부르는 소위 말장난들이다. 본인들이 폭격을 해서 무고한 시민이 죽었지만, '콜래트럴 데미지'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마치 자연재해같이 어쩔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자신을 속이는 사람들2019.05.12
- 나타나기 때문에, 현실적인 이득 추구가 대개 관여하지 않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은 거짓말과 과대망상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세상과 자신에 대한 두 가지의 상반된 신념을 동시에 받아들입니다. 자신이 현실을 농락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습니다. 의식 수준에서 ... ...
- "저 선수 맞고 나갔어요" 선수들이 우기는 이유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04.25
- 두 선수의 표정은 모두 억울해 보인다. 최근 미국 심리학자들이 사실은 양쪽 아무도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마이클 맥베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비슷한 시간에 공을 건드리면 편향으로 인해 자신이 먼저 공을 건드린 것처럼 인식한다는 연구결과를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⑧ 소프트웨어 속 '벌레' 알려주기2019.04.23
- 아이는 아빠가 고치면 되겠다고 반문했다. 이럴 때는 껐다 켜기만 해도 고쳐진다고 거짓말을 살짝 했다. 그러면서 속으로 이렇게 되뇌였다. 얘야. 아빠가 이걸 바로 고칠 수 있으면 지금의 연봉의 몇 곱절 받으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고 있을 게야. 도움자료 1) 5일 차 교안을 공유합니다. https:/ ... ...
- [주말N수학]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수학동아 l2019.04.07
- 일러스트 이창우. 수학동아 제공 정확함, 옳고 그름이 분명, 논리적, 이성적, 절대 변하지 않는 진리는 수학의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표현들입니다. 그 ... 공부하면 두 배로 유익합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4월호. 수학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청문회에서 파헤친다! ... ...
- [내 마음 왜 이럴까?]인간은 험담을 통해서도 공감을 얻고 싶어 한다2019.04.07
- 인간처럼 아예 없는 것을 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타고난 이야기꾼입니다. 거짓말쟁이기도 합니다. 타인을 속이고, 심지어 자신도 속입니다. 진정한 기만은 자기 자신마저 속아 넘어갈 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인간이 다른 사람과 같이 살기로 한 지 수백만 년이 흘렀습니다. 집단의 ... ...
- [기고]인류 과거를 밝히는 탐정 '고고학자'2019.02.24
- 사이가 이렇게 멀다면 스파르타 전사 300명이 절대 막을 수 없었을 겁니다. 헤로도토스가 거짓말을 했던 것일까요. 고고학자들은 사라진 바다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이곳의 땅을 팠습니다. 시추공을 뚫어 흙의 조성을 분석했습니다. 그랬더니 흙 대부분이 이곳을 지나는 스페르키오스강에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진실을 대하는 인간의 속성 '라쇼몽 효과'2019.02.24
- 인간의 추악한 측면을 잘 그려낸 작품으로 지금도 회자됩니다. 진실이라는 이름의 거짓말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세 가지 열로 구분된 진실을 이야기합니다. 각각 좌측 열, 중간 열, 우측 열이라고 하죠. 좌측 열은 객관적 자료입니다. 결과나 데이터, 기록 등입니다. 중간 열은 해석적 ... ...
- [애니멀리포트] 신뢰받던 동물보호단체의 안락사 논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02.02
-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구조할 개는 많고, 보호소는 적고 한편에서는 박 대표가 거짓말을 한 것은 잘못이지만 안락사가 불가피한 면도 있다고 말합니다. 구조가 필요한 동물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2018년 6월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방자치단체가 관할하는 보호소에 신고된 유기동물 수가 201 ... ...
- 내 나이 8살, 비로소 산타 진실을 알게 됐다동아사이언스 l2018.12.25
- 찾아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존슨 교수는 “어린이의 비판적 사고를 키우고 싶다면 거짓말 대신 자녀가 산타가 진짜인지 아닌지 결정하기 위한 시험을 치르게 해 보라”고 말했다. 울리 교수도 “아이들은 진실을 가려낼 도구를 갖고 있다”며 “산타 이야기에 참여하는 게 그 능력을 기르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