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기"(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더팀과 함께한 제주 심화탐사 아카데미기사 l20230720
- 하여 끝내는 보지못해서 많이 아쉬었습니다. 하지만 끝까지 돌고래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점심은 어린이 대원끼리 친해지기 위해 같이 먹었는데 원래도 친했지만 더 친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심화탐사의 마지막은 제 10회 동아시아생태학회 참석이였습니다. 학회장에서 어제 만난 류흥진 연구원님을 만나서 이게 무슨 박쥐의 주파수인지 여쭈어보았고 ...
- [챌린지]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한 이호왕 선생님기사 l20230706
- 외울 정도로 공부에 대한 의지가 강하셨다고 합니다. 이런 애기를 들으면 조금만 힘들면 포기하고자는 하는 제 마음이 부끄러워지기도 합니다. 어느날 교수님이 이호왕 선생님에게 일본 뇌염 바이러스를 연구하라고 하셨습니다. 한국에 일본뇌염이 크게 번지고 있으니 한국을 위해서도 좋을것이라구요. 하지만 선생님은 바이러스가 뭔지도 잘 모르셨다고 합니 ...
- 야쿠시마의 원숭이· 사슴· 바다거북 탐사(바다거북탐사대 in 야쿠시마)기사 l20230628
- 보여줬습니다. 나도 달려가 바다거북이 사진을 찍으려고 했지만, 바다거북은 잘 보이지 않았습니다. 조금 뒤 탐사대원들과 해가 지기를 기다리며 놀았습니다. 해가 지자 다시 밥 먹은 곳으로 돌아와 바다거북 관찰 규칙에 관한 영상을 보고, 현재 해변에 나와 산란하고 있는 바다거북을 보았습니다. 산란할 때 눈에서 눈물이 나온다고 알고 ...
- ???: 난 진짜 가볍게 그리려고 했어요포스팅 l20230624
- 오랜만에 내 자캐 좀 그려볼까 해서 가볍게 그리기 시작한건데 이상한 오기(?)가 생기면서 이렇게 되었슴미다..(오기: 능력은 부족하면서도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마음 )와 옷이랑 손은 어떻게 다 하죠 ...
- 블랙홀에 사람이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기사 l20230622
- 몸이 엿가락처럼 되는 이유는 '차등 중력' 이라는 것 때문인데 거리에 따라 중력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간이 점점 느려지기 시작하고 어느 경계를 넘는 순간 시간이 멈춰버립니다. 이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 부르는데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가 시공간으로 탈출할 수 없는 구역의 경계선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걸 이용하면 세상에 ...
- 야쿠시마의 생물들 (바다거북 탐사대 in 야쿠시마)기사 l20230620
- 연구자님께서 바다거북이 알을 낳을 자리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셔서, 그래도 바다거북을 볼 수는 있다는 생각으로 해가 지기를 기다렸습니다. 중간중간 전에 올라왔던 바다거북의 흔적도 볼 수 있었습니다. 드디어 해가 지고, 우리는 해변 앞 작은 건물에서 바다거북을 만날 때의 규칙을 배웠습니다.일단, 바다거 ...
- 성스러운 섬, 야쿠시마기사 l20230618
- 나가타해변의 모래의 색은 누런 빛이 났고, 알갱이가 컸습니다. 바다거북 산란의 90%가 이루어지는 이곳에 있다는 사실이 믿지기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 바다거북의 산란을 축하라도 하듯 예쁜 석양이 저희를 반겨주었습니다. 저녁을 먹고, 나가타해변 마을분들이 거북이 산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어미 거북이가 구멍을 파기 전 까지 ...
- 못 찾겠다 개구리!! ‘닥터구리 현장교육’ 후기기사 l20230604
- 논에 들어가서 탐사할 수 없었습니다. 그 중 유일하게 한 논만이 아직 논을 갈아엎지 않아 탐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해가 지기 시작하고 노랑배청개구리의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모두들 논에 들어가서 노랑배청개구리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처음에 참개구리를 발견했는데 아쉽게 놓치고 말았습니다. 두 번째로는 노랑배청개구리 암컷을 발견했 ...
- 닥터구리팀과 함께 개구리 박사가 될 시간입니다. (익산 청개구리 특별탐사 현장교육)기사 l20230529
- 하얀색의 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울음주머니를 부풀리면 확연히 차이가 나 보였습니다. 3. 우는 시간 노랑배청개구리는 해가 지기 시작하는 6시 정도에 울기 시작하지만 청개구리는 좀 더 조심성이 많아서 완전히 해가 진후 울기 시작합니다. 4. 발가락의 모양 청개구리는 앞발에 동그란 발판이 큰 반면 노랑배청개구리는 그것보다는 조금 더 작았습니다. 그 ...
- [챌린지] 누리호 3차 발사기사 l20230520
- 중성자와 하전 입자에 대한 정확한 선량 맵을 작성할 계획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 남욱연 선임연구원은 "조만간 유인 탐사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의 방사선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우주에서 작동하는 위성 내 부품 열제어장치, 전력증폭기, GPS 수신기, 태양전지 어레이 등 4대 핵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