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
앞다리
전각
어린이과학동아
"
앞발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vs스피노 사우루스
기사
l
20171031
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크기에선 약간 밀리지만 무게는 오히려 더 나가는 것으로 추정되며 턱의 힘도 티렉스가 쌔고 스피노는 턱과
앞발
두 가지의 공격수단이 있으며 시력은 최근 연구결과 사람의 13배나 되는데 누가 이길까요? 스피노 사우루스 육지와 수중에서도 활동이 가능한 욕식공룡이며 크기는 대략 15~16m이고 무게는 7~9t정도로 추정됩니다. ...
한국고유종 금개구리 서식지 모니터링을 통한 양서류보전 생태수로 개발
기사
l
20170911
시멘트 블록 농수로, 조립식 농수로 등으로 조사되었다. 콘크리트 수로 안에서 이동이 가능한 개구리는 청개구리이다. 청개구리는
앞발
에 흡반이 발달해 있어서 수직으로 된 벽면을 잘 기어오를 수 있다. 흡반이 없는 개구리는 수직벽을 기어오를 수 없다. 야생생물포획 허가서 신청 실험에 사용할 개구리를 채집하기 전에 완주군청에 ‘야생동물 포획허가 ...
발가락이 4개밖에 없는 고슴도치가 있다고?!
기사
l
20170816
입: 가늘고 날카로운 이빨이 가지런히 나 있어서 잡은 곤충을 놓치지 않습니다. 또한 껍질이 단단한 곤충도 잘게 씹을 수 있습니다.
앞발
: 발가락이 5개이고, 발가락 끝에 작은 발톱이 있습니다. 뒷발: 발가락이 4개이며, 이 때문에 '네발가락고슴도치'라 부릅니다. 꼬리: 짧고 배내털로 덮여 있습니다. 땅 위나 땅 밑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긴 꼬리 ...
반짝반짝 소개터
포스팅
l
20170815
제가 키우는 사마귀에요.
앞발
의 카리 스마 짱이에요.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에 다녀와서
기사
l
20170629
다른 수중곤충들이 먹이고 부성애가 유명한 곤충입니다. 물장군이 배고플 때에는
앞발
을 넓게 벌리고 먹이가 오면 재빨리 먹이를
앞발
로 잡고 침을 꾹 넣어서 마취액을 넣어 채액을 빨아먹습니다. 박사님은 어제 물장군 먹이로 작은 물고기를 천 마리나 사셨다고 하셨습니다. 먹이에는 황소개구리 올챙이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홀로세생태연구소에 갔 ...
수원청개구리의
앞발
과 뒷발....
탐사기록
l
20170403
수원청개구리, 청개구리 의 학명이 작년 자료이어서 수정되지 않았습니다. 수원청개구리 Dryophytes immaculatus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 비교 #2
탐사기록
l
20170403
수원청개구리, 청개구리 의 학명이 작년 자료이어서 수정되지 않았습니다. 수원청개구리 Dryophytes immaculatus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성체의 경우 수원청개구리
앞발
, 뒷발의 손등까지 초록색이 덮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http://cafe.naver.com/yangpakor/25596 ...
고양이에 관한 6가지 오해를 알아보자
기사
l
20170130
생각지도 못한 행동을 합니다. 반면 강아지는 반복 훈련을 통해서 학습을 합니다. 고양이들은
앞발
사용에 능숙하기 때문에
앞발
로 쉽게 미닫이 창을 여닫거나 선풍기를 틀기도 합니다. 고양이는 주인이 여행을 다녀오면 주인을 못 알아본다는 설이 있는데 이는 고양이의 조심성을 무시한 데서 비롯된 설입니다. 사실은 고양이들은 주인이 여행을 ...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아기 수달 영동이를 만나다
기사
l
20161204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이라고 한다. 물고기를 주면 놀라운 속도로 와서 가져갔다. 한 마리를 입에 물고 또 한 마리를 욕심 내서
앞발
로 가져가는 모습이 우습기도 했다. 수달은 먹이를 잡는 물속에서는 물갈퀴와 꼬리로 추진력을 높이고 방향 전환을 잘해서 굉장히 빠르다. 다리가 짧아 땅에서는 느리다. 나중에는 야생으로 돌려보내야 하기 때문에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
기사
l
20160420
덕지덕지 붙은 지의류를 쓰~윽 털어주고 있었지만 참았다. 문화재는 소중하니깐.^^ 석양의 경우에는 다리 아래에는 오픈되어 있지만,
앞발
과 뒷발 사이는 붙어있다. 다리를 가늘게 만들어서 손상될 위험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장명등은 공릉의 장명등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어 세부적인 모습은 조금 다르지만 조선 전기 장명등의 전반적인 모습을 잘 드러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