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번째 전쟁, 윙페더사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잃을 뻔한 위기에 처합니다. 가족은 이들을 피해 그동안 살던 마을 글립우드를 떠나, 북쪽 얼음평원으로 향하죠.세 남매는 모험을 떠나면서, 네그가 침략한 윙페더 왕국과 이기비 가족 사이의 비밀을 알아내기 시작해요. 네그가 그토록 세 남매를 원하는 이유는 뭘까요?이기비 남매는 직접 네그를 ... ...
- 대만 지질탐험대 여행 미리보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함께 떠나 볼까요? Day2 타이루거 공원대만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리는 타이베이 남동쪽에 위치한 타이루거 공원. 필리핀 해양판이 유라시아 대륙판과 충돌하며 대만을 형성했고, 천천히 융기한 산맥의 지표암이 풍화와 침식을 거쳐 표면에 대리석으로 드러났어요. 이 대리석 암반은 리우 강에 의해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방을 무시하기 바빴습니다. 분수나라와 소수나라는 모두 농작물이 잘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지우면 란돌트 고리가 완성돼요. 즉, 란돌트 고리에서 끊어진 부분의 길이는 바깥쪽 원의 지름의 1/5이지요. 시력 1.0의 비밀‘시력’은 두 개의 점이 가까이 있을 때 이것을 두 개라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을 말해요. 5m 거리에서 1.5mm 간격을 구분할 수 있을 때의 시력을 1.0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보글보글 '곱하고 나누면' 맛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난~, 라면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 냠냠, 쩝쩝, 맛 좋은 라면~.”‘머나면 나라’에서 최고의 라면을 끓이는 방법을 배우고 온 자칭 ‘라면왕’ 보구리! 동물의 숲 주민에게 ‘진짜 맛있는 라면’을 소개하려고 해요. 하지만 동물의 숲엔 아직 라면을 모르는 동물이 많아, ... ...
- 전 세계는 보물 찾아 삼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광물을 캐는 채굴 실험을 진행했어요.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은 하와이 섬에서 남동쪽으로 2000km 떨어진 바다로, 어느 나라의 국경선에도 속하지 않는 공해예요. 수심 5000m 깊이의 바닥에 망간, 니켈, 코발트, 구리 등 희귀 금속이 뭉쳐진 광물 덩어리가 깔려 있지요. 이 광물 덩어리를 ‘망간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된 계기도 수학이었어요. 수학을 좋아하는데 이것을 어디에 쓸지 고민하다가 컴퓨터 쪽을 떠올렸거든요. 그런데 수학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제가 하고 싶었던 게 응용수학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컴퓨팅 능력을 바탕으로 코드를 짜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만든다면,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래전부터 알았다. 밤하늘의 북극성이 지표면 가까이 보일수록 북극에서 멀어져 적도 쪽으로 가는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경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찾아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정밀한 시계 기술의 등장과 함께 해결됐다. 현재 위치에서 태양이 정남에 도달하는 순간을 정오로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대사를 인용했습니다. 주인공이 한 말인데요, “현실을 받아들이고 전략을 세우는 쪽이 나와 어울려. 자신의 단점을 받아들이고 시작한 부분부터 80%는 한 거라고 생각해”. 재미있는 후일담을 하나 들려드리며 글을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실패에 직면하길 두려워하지 않는 학생들의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로 만족스러운’ 지점입니다. 분산형 시스템에선 각 개체가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 행동을 바꿉니다. 합의점이 ‘서로 만족스럽다’는 것은, 바로 각 개체가 자신의 행동을 바꿔도 더 나은 이득이 없는, 최선의 행동임을 뜻합니다. 게임이론(Game theory)은 개별 개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