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상"(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홋카이도 마리모, 기후변화 탓에 ‘야위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038/s41598-023-43792-6 연구팀은 속이 빈 구 모양인 마리모의 생장을 연구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MRI) 분석법을 활용했다. MRI를 이용해 마리모 내부 구조를 촬영하고, 마리모의 속이 얼마나 차 있는지 재는 식이다. 연구팀은 어두운 환경에서 마리모를 289일간 키우며 마리모가 분해되는 속도를 측정했다.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곳까지 물이 들어찼고, 그때마다 두려워했다. 침수가 일상인 주민들의 이야기를 글과 영상으로 담아왔다.➡︎세계에서 가장 빨리 가라앉는 도시 근황 | 침수도시 ep.01 자카르타https://www.youtube.com/watch?v=Y3jFYQ6mOPU➡︎뉴욕 반지하도 잠긴다 | 침수도시 ep.02 뉴욕https://www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전광판으로 보여줘 충돌 사고를 피하게 해 줄 수 있죠. 윤정호 보좌관은 “블랙박스 영상을 분석하다가 보행자나 운전자가 서로 발견하지 못해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많다는 것을 알고 스마트 전광판 설치를 기획했다”고 밝혔어요. 핀텔은 교통사고 예측 시스템도 개발했습니다. 분석기를 통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특수 센서가 들어 있어요. 센서가 사용자의 움직임과 기울어짐을 체크해 영상과 연동시키면 보다 생생한 가상현실을 즐길 수 있지요. 최근에는 냄새까지 구현한 VR기기가 등장하고 있답니다. VR기기를 이용하기 전에 주의사항이 몇 가지 있어요. 첫 번째는 VR기기에 대한 안정성이 의학적으로 아직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러셀 경. 마지막으로 질문을 하나만 하겠습니다. 지금 우리가 찍고 있는 이 인터뷰 영상이 마치 바다에 던져진 유리병 속 편지처럼 수천 년 뒤 우리 후손에게 발견된다면, 당신이 인생에서 배운 교훈 중 어떤 이야기를 전해주고 싶나요? 러셀 : 두 가지를 말하고 싶군요. 하나는 지성, 다른 하나는 ...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등 15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시사회 형식으로 진행됐다.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영상원 학생들이 2022 SF스토리 공모전 수상작과 지난 SF숏포머블 공모전 수상작 중 13개 SF스토리를 10분 내외의 숏필름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웹툰 ‘업데이트’, 소설 ‘핑키의 모험’을 비롯한 8편의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예방을 위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에서 관찰한 등하굣길의 CCTV 영상을 보면, 어린이와 성인의 보행 경로가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어요. 성인은 횡단보도와 보도 안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비해, 어린이는 횡단보도를 벗어나 차도로도 많이 다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너무 심심한 나머지 과도하게 털을 뽑아 하얗게 살이 드러난 모습 등 정형행동이 담긴 영상을 함께 확인했어요. 우동수비대 4기의 특별 미션은 바로 동물원 동물들이 이런 정형행동을 하는지 조사하고 기록하는 거예요. 마 교수님은 “정형행동을 관찰하면서 마음이 아플 수 있지만, 대원들이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학생은 ‘오사카 하수도 과학관’에서 일본인이 하루에 평균적으로 쓰는 물의 양에 관한 영상을 보다 생각에 빠졌습니다. 한참 뒤 조용히 기자에게 다가와 “제 발명품으로 개인이 하루에 쓰는 물의 양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면 물 절약에 도움이 돼 기후 위기를 늦출 수 있다”라고 이야기를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별 추적기는 원래는 위성의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됐으나, 영상 센서와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 쓰레기를 탐지할 수 있게 됐다. 카메라의 기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보니 별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도 감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