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d라이브러리
"
불확정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도달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멀지않은 장래에 측정의 한계인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에까지 도달하는 기기들이 출현하리라고 기대한다.그러나 이와같이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측정기기라 할지라도 그 근본이 되는 어떤 기준(즉 측정의 표준)에 맞지 않는다면 엉뚱한 측정결과를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지지할 수 없었다.만약 입자 2에 대해서도 측정이 수행된다면, 그것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관계를 따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어는 양자이론의 완전성이 손상되지 않고, 특수상대성 이론을 부정하는 비국소적 작용의 존재라는 아인슈타인의 결론을 피할수 있었다.그후 30년 이상,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천체물리학자들은 '호킹 방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자역학의 핵심 이론인
불확정
성원리가 빛보다 빠른 입자를 가정함으로써 호킹방사는 뒷심을 든든히 하고 있다.블랙홀이 입자를 방출함으로써 결국 자신의 질량을 모두 잃는다면 어떻게될까. 그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잃어버린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새로운 틀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또 원자나 핵의 안정성은 양자역학적인 개념인
불확정
성원리, 파울리의 배타원리 등으로 설명되었다.핵속에 양성자나 중성자가 있다는 사실이 확실해짐에 따라 이들을 묶는 새로운 종류의 힘이 있을 것으로 예견되었다. 이 가정은 핵력의 발견을 이끌어냈다. ... ...
양자물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위치 시간에
불확정
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운동량×위치) 또는 (에너지×시간)의
불확정
성 정도의 최소값이 플랑크상수 h. 따라서 입자의 운동량과 위치(또는 에너지와 시간)를 동시에 알 수는 없다(h=6.6×${10}^{-34}$J·초).9. (2)인공위성이 지구와 같이 중력으로 끌어당기는 물체 주위를 선회하기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
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우리 눈으로 보면 수평선상의 한점에 완전히 정지하고 있는 것같이 보이는 것도, 사실은
불확정
성원리가 지적하는 오차범위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코 딱 떨어지는 정확한 한점에 정지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는것이다.시스팀이 취할 수 있는 최저에너지를 영점에너지라고 부른다. 이것을 ... ...
정보검색 초고속화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종래 방식보다 1백배나 빠른 새로운 검색기를 개발해낸 회사는 일본 마쓰시타전기.
불확정
부분을 포함한 복잡한 키 워드(key word)에 대해서 초고속검색이 가능해, 신문 1개월 분으로부터 목적하는 문장을 찾아내는 데는 약 0.4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마쓰시타 전기는 올 4월부터 검색기의 집적회로화에 ... ...
대폭발(BigBang)과 「거품」이론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성립되어야 한다. 진공에서 요동을 일으키는 양자역학적인 법칙(양자요동), 자연계의
불확정
성같은 것은 우리 우주뿐아니라 모든 우주에 한결같이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칙이다.중력은 반드시 물체를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또 시간이 흐르는 한 무(無)질서도(entrophy)는 모든 ... ...
컴퓨터에세이② 인공지능과 바벨탑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이루어진다는, 인간의 의지 혹은 자연 혹은 특별한 다른 존재의 간섭에 의한
불확정
성 팩터(fator)를 증명해냄으로써 사상과 예술의 조류는 다시 운명론에서 벗어나 확률론으로 바뀌어 나갔다. 이 이야기를 컴퓨터에 적용시켜 보자. 현재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느 컴퓨터도 이미 설계, 제작되었을 ... ...
소립자가 소용돌이 친다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시간 △t는 약$\frac{ΔX}{C}=\frac{{10}^{-13}cm}{30만km/sec}$ 일 것 것이다. 따라서 △t·△E=h인
불확정
성 원리를 적용하면△E=mc²=$\frac{C·h}{△X}$ (E=mc²인 아인슈타인의 에너지와 질량의 관계식을 중간에서 사용하면)가 된다. 따라서 중간자의 질량 m은 m=$\frac{h}{C·△X}$이며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