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끝에 문 씨는 성공을 거뒀습니다. 올해 3월 췌장암에 대한
논문
을 발표하고 지금은 박사 졸업을 앞두고 있다는 그는 “살아만 있다면 어떻게든 된다”는 묵직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이야기를 즐겁게 들어도 될지 모르겠다는 기자의 질문엔 웃으며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형태와 부피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적층성형 관련 연구는 2006~2020년 전 세계
논문
을 수집한 네덜란드 라이덴대 데이터에서도 최근 7년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였습니다. 물론 독자 여러분은 수수깡이나 나무를 깎고 꺾어 형상을 조립하거나, 재료들을 풀이나 접착제로 이어 붙여 뭔가를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위튼 교수가 만든 학문적인 틀 안에 있었다”고 말했어요. 학계에서는 h회 이상 인용된
논문
의 수가 h개 이상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h의 최댓값을 ‘h지수’라고 해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10월 전 세계 48명이 무려 35만 757번이나 동전을 던져 이 믿음을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수많은 의사 결정 방식 중 동전 던지기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하고 편리해 동전 던지기가 오래 사용된 이유는 일단 단순하고 편리한 방법이기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봐도 무방하다. 즉, 앞으로도 계속 사용해도 무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번
논문
을 통해 동전 던지기뿐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의사 결정 방법이 정말 무작위한지, 나아가 무작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서인석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그녀의 연구엔 우여곡절이 많았다. 대부분의 연구 과제에서 떨어지고, 주요 저널에서
논문
게재를 거절당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펜실베이니아대 정규 교수 임용에도 실패했다. 그럼에도 커리코 부사장은 대학에 남아서 계속 연구를 했다. 포기하지 않은 과학자가 코로나19로부터 수십억 인구를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학술적 의미가 부족하다’는 의미로 여러 번 수정 요청을 받았다. 신 교수는 “
논문
의 초록에 이 연구에 대한 쓸모와 연구 방법 등을 강조했다면 수정 요청을 그리 많이 받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하지만 그러고 싶지 않았다”고 말했다. “모든 실험에 거창한 목적이 있을 필요는 없다고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논문
을 직접 읽기는 쉽지 않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방사선과 원소’는 이
논문
들의 정수를 독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정교수와 화학양의 대화 형식으로 풀어냈다. 수식이 필요한 어려운 부분도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서술하는 점도 인상적이다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를 했어요. 이때 작성한
논문
은 아직 출판되진 않았지만, 학회지에 제출해서 심사를 기다리고 있어요. 수학으로 미래를 그리다 대학 생활 중 연구 경험이 대학원 합격에 큰 도움이 됐어요. 대학원에서는 주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같은 연구를 발전시켜 지난해 산모 뇌의 변화가 아기와의 유대감 강화와 관련이 있다는
논문
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습니다. doi:s41467-022-33884-8 연구진은 특히 쉬고 있을 때의 뇌 상태인 ‘DMN(Default Mode Network)’에서 뇌 변화 정도와 유대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