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학"(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자란당 기호1 나미래] 실험하고, 진로찾고 즐거운 과학을 꿈꾼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마련돼 충분히 다양한 실험을 시도할 수 있는 과학고나 영재고와 달리, 일반고에는 광학현미경과 같은 기본적인 실험 장비만 갖춰진 경우가 많아 과학실험과 수업의 질에서 차이가 크다는 것이다. 유한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원이 2017년 8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고, 과학고, ...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며,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초고속 광학과 테라헤르츠 광학 분야 연구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가 있다. mseo@kist.re.kr 용어정리*병치혼합 : 각기 다른 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해 착시로 인해 색이 섞여 보이도록 하는 기법. 파란색과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질병 진단에는 유용하지만 비싸다. 그간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파장대의 빛을 이용한 광학영상법(optical imaging)이 대안으로 나오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가시광선은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지방, 물 등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신체 내부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이런 상황에서 퀀텀닷의 출현은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쏴 반사된 빛의 음영으로 지문을 인식하는 광학식과 초음파식도 쓰이고 있다.하지만 광학식이나 초음파식은 마치 지문을 촬영하듯 지문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식이어서 복제의 위험이 있다. 습도가 높거나 빛의 노출이 심할 때는 지문 인식률이 떨어지는 한계도 있다.지난해 미국의 정보기술(IT)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붙잡을 수 있는 기술로, 애슈킨 연구원은 이 공로로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광학 집게는 세포나 박테리아만큼 매우 작은 물질을 집어낼 수 있어 지금도 생물물리학의 중요한 기술로 사용된다. 강 씨는 “국내에서는 기초물리학을 입자, 광학, 고체 등 세 개 분야로 한정하는 경향이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적용됐다. 카메라 모듈을 얇게 유지하면서 렌즈의 이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 최대 5배 광학 폴디드 줌 기능을 완성했다. 100배 줌, 얼마나 잘 보일까 삼성전자는 2019년 5월 1.33인치 면적에 0.8µm(마이크로미터·1µm은 100만분의 1m) 선폭으로 1억800만 화소를 담은 CMOS형 이미지 센서 ‘아이소셀 브라이트 ... ...
- 스타워즈 두 개의 태양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1338b’라는 이름이 생긴 이 행성은 쌍성계를 95일마다 한 번씩 공전해요.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이재우 그룹장은 “연구자의 기준과 집계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현재까지 발견된 타투인 행성 후보는 32개 정도”라며 “쌍성의 운동에 따라 쌍성 주위 행성은 극심한 온도 변화가 생겨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세균은 보통 0.5~ 5㎛(마이크로미터, 1㎛는 백만 분의 1m) 정도예요. 맨눈으로 볼 순 없지만 광학 현미경으로는 쉽게 확인할 수 있지요.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스스로 영양분을 얻고 증식할 수 있어요. 대표적인 예로, 대장균은 사람의 장 속이나 음식물 속에서 스스로 영양분을 얻으며 살아요. 증식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퀀텀닷이라도 크기에 따라 발광하는 색을 비롯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도 단연 퀀텀닷에 눈독을 들이는 건 TV, 모니터를 비롯한 디스플레이 시장이다. 총천연색 구현을 꿈꾸는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퀀텀닷은 그 꿈을 실현할 새로운 ... ...
- 상상이 현실이 된다! 스타워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 최지훈(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디스플레이 연구실 연구원), 이재우(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그룹장), 전홍식(SF 판타지 도서관 관장), 김곤호(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임용준(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홀로그래픽연구실 연구원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