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5,3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
과학동아
l
201707
수동면역은 외부에서 만든 면역물질(항체)을 통해 생기며 보통 수개월 이내에 사라진다.
대표
적인 수동면역은 태아가 엄마로부터 받는 ‘경태반 수동항체’다. 임신 후반에 태반을 통해 엄마의 항체가 태아에게 전해진다. 이를 통해 신생아는 길게는 생후 1년까지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
과학동아
l
201707
난자를 뚫고 들어가지를 못하네요. 항정자 항체는 보조생식술의 발달로 연구가 중단된
대표
적인 분야입니다. 밝혀진 바가 많지 않죠. 정자 수나 모양에는 이상이 없다니 참으로 미묘한 일입니다. 현행 정액검사는 다 통과하고 이번 레이스에 참가한 거잖습니까. 계명찬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 ...
[300호 기념 특별 이벤트] 인기 캐릭터를 잡아라! 어과동 GO!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
*어린이과학동아 300호 이벤트 페이지 - http://dev-kids.dongascience.com/event300*EVENT3 3월 15일 오후 3시 판매 OPEN - 과학동아몰 www.scimall.co.kr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
수학동아
l
201706
전쟁을 벌여 훈련하는 ‘국방 M&S’라고 한다. M&S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약자다.
대표
적인 국방 M&S는 ‘워 게임’이다. 아군과 적군의 전투력을 각각 수치로 바꿔 게임처럼 전쟁을 해보는 시뮬레이션이다. 워 게임에는 꽤 정확하고 정밀한 정보가 들어간다. 시뮬레이션이지만 실제 전쟁 상황과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
과학동아
l
201706
대표
적인 장내미생물 중 하 나 인 장내구균(Enterococcus )의 나이가 무려 4억 살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마이클 길모어 교수팀은 장내구균의 분자시계를 분석했다. 분자시계는 진화 과정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에 생기는 변화를 통해 생물의 연대를 추정하는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
과학동아
l
201706
비교적 쉽게 사서 운전할 수 있는 개인용비행기(PAV, Personal Air Vehicle)를 개발하려 했다.
대표
적인 형태가 자동차와 비행기를 융합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PAV를 나는 자동차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나는 자동차를 만들려는 시도는 그동안 모두 실패했다.잇따른 실패로 ‘현재 기술로는 어렵다’는 인식이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6
단백질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저마다 가지고 있다. 초파리의 ‘톨유사수용체(TLR)’가
대표
적이다.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 숙주방어유전학센터장)는 인류와 가까운 포유류의 수용체를 찾았다. 쥐 실험을 통해 포유류에서 병원균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
과학동아
l
201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가
대표
적이다. 2007년 일반인들의 과학 학습 모임으로 시작한 박자세는 2009년부터 해외 학습탐사를 연간 2회씩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몽골과 서호주, 백두산 등 지구와 한반도 역사의 비밀을 간직한 곳을 탐험해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
과학동아
l
201706
개인 제과점이 성장한 제빵회사가 여럿 탄생했다. 이 가운데 지금도 국내 제빵업계를
대표
하는 한 기업은 최근 ‘한국의 토종 천연 제빵효모’를 찾는 데 성공했다. 한국적인 맛을 내는 빵이 탄생하는 데 한걸음 다가간 셈이다.한국의 토종 제빵효모 ‘SPC-SNU 70-1’2005년, SPC 그룹에서는 한국 토종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
이종호 교수팀이 개발한 1μm(백만 분의 1미터)의 아주 얇은 태양전지(위 사진)가
대표
적인 예지요. 이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13%로, 두꺼운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하면서도 연필에 돌돌 말 수 있을 정도로 얇고 유연하답니다.#사람들이 징그러워했던 우리 벌레들도 사람들을 돕는 데 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