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제약사인 로슈(roche)에 이전한 덕분에
길
리아드는 세계 제약업계 23위의 대기업이 됐다.
길
리아드 같은 회사가 한국에서 나올 수 있을까. 송 원장은 “바이오산업은 기술 개발과 사업화의 주체가 잘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거대 제약회사들은 현재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인터뷰 바로 전날 입국해 바로 카이스트와 포스텍을 방문해 ‘노벨상, 그 이상으로 가는
길
: 인간 대 헬리코박터파일로리(The Road to the Nobel Prize and Beyond: Man versus Helicobacter pylori)’란 주제로 강의를 했다. 입국하자마자 헬기로 이동할 정도로 빡빡한 일정을 소화한 다음날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배추흰나비의 집단 폐사 원인이었던 과립병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나비 대량 생산의
길
을 열었으며 질병을 옮기는 곤충의 조사 및 감시를 위한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영남 거점센터’의 운영을 맡기도 했다. 연구실에만 있던 그가 왜 공무원 될 생각을 하게 됐을까. 그는 “연구에 대한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강세를 보이며, 제조는 중국에 추격당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갈
길
은 창의성을 근거로 한 고부가가치 제조업”이라고 지적했다. 산업사회에서 지식경제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만큼, 지난 세월 중화학 산업, 반도체 산업, 통신 산업을 일궈낸 것처럼 지식재산 분야에 관심을 갖고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단백질의 목록만 나타낸 단백질 지도 역시 유전자 지도와 같은
길
을 걷지 않을까. 울렌 교수는 “단백질의 기능을 모두 아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도 “단백질의 기능을 정확히 알지 못해도 병을 앓을 때 어떤 단백질의 양이나 구조가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면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말했다. 그렇지만 평생 생명공학 분야를 연구하고 지원해온 그가 보기에는 아직 갈
길
은 멀다. 송 센터장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면 생명공학 분야 투자가 아직은 미약한 수준”이라며 “선진국들은 연구의 절반가량을 바이오 분야에 투자하며 그것도 긴 안목으로 오랜 기간 한다”고 지적했다.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하지만 오 교수가 처음부터 탄탄대로를 걸었던 것은 아니었다. 오 교수의 시작은 가시밭
길
에 가까웠다. 오 교수는 누구나 그렇듯 “교수로 처음 부임했을 때가 가장 막막했다”고 말했다. 실제 그가 처음 교수가 됐을 때 주어진 것은 20평 남짓한 연구실과 연구비로 나온 200만 원이 전부였다. 그런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경우도 여러 번이었다. “아프리카 콩고에서였을 겁니다. 4륜 자동차로 도로가 나지 않은
길
을 가다가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을 뻔 했죠. 또 생물자원을 채취하려면 해당 지역 원주민과 친해져야 해요. 친목을 과시하기 위해 굼벵이 같은 해당 지역 음식도 먹기도 하고….” 사업단이 낳은 결실은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알렸다고 김 관장은 전했다. 이 같은 표본 수집 및 정리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갈
길
이 멀다. 김 관장은 “일본은 8만종 정도가 분류가 되어있지만 우리는 일본의 40% 수준에 불과하다”며 “자원관이 매년 700~800종 씩 새로운 종을 발견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예산과 속도로는 일본 수준이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통해 ‘실패’를 ‘성공’으로 바꿔내자.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둔 연구 개발만이 살
길
이다. △대규모 투자와 틈새 시장을 동시에 개척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인재를 키워내는 약대 교육을 만들자. 김인철 사장은 1977.2 서울대 약학과 학사/석사 1985.2 미국 일리노이대 이학 박사 19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