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진 귀한 현상을 보기 위해 관광객이 몰리자 진도군에서 ‘바닷
길
축제’를 시작했는데 2013년에는 4월 26일 ~ 28까지 3일간 개최된다. 해가 질 시간이 되면 세방낙조 전망대로 빠르게 발걸음을 옮겨야 한다. 이곳의 낙조는 중앙기 상대가 한반도 최남단 ‘제일의 낙조 ... ...
"기초과학 연구지원 통해 창조경제 기여할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확대된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한계가 있으면 누군가는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길
을 터 놓아야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과학기술인은 자신이 최초의 여성과학자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여성 과학자가 아닌, 성별에 구분 없이 '훌륭한 과학자'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 ...
봄꽃 피면 과학기술도 피어난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1
연락처까지 기재되어 있어 부담 없이 참가할 수 있다. 과학의 달은 집에서도 즐
길
수 있다. YTN 사이언스TV는 '미래창조를 위한 첨단과학기술' 다큐멘터리를 화요일마다 방영한다. 과학 위인전과 과학 만화책을 구입해 집에서 간식과 함께 즐기는 것도 추천한다.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조립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매년 적잖은 기술료 수익을 얻고 있다. 연구개발에 성공하면 직접 상품화 하지 않아도
길
이 있다. 한국기업도 개발 분야에 지속적인 지원을 하면 성과가 있을 것이다. ▽박항식 국장=이런 문제는 자본 집약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업의 유입이 필요하다. 기업의 R&D 참여를 촉진하여 출연연과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국회에서 일하는 동안 이들의 소망을 모아 생명과학 분야에서 훌륭한 성과가 나오
길
기대하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펴나갈 계획이에요.” 국회의원으로 일하면서 그는 서울대와 차병원, 국립암센터 등 생명과학 연구 현장을 여러 차례 둘러봤다. 현장에서 몸속에 숨어 있는 암세포를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않죠. 반대로 임상의사는 기초의학을 연구하고 싶어도 정부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길
이 많지 않습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와 이공계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는 게 교과부 학술연구정책실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국장)의 설명이다.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모른다는 얘기다. 그는 “지금은 다같이 지혜를 모으는 단계”라며 “안개 속을 뚫고
길
을 걷다 보면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도 연구원의 역할에 대해서는 명확한 방향을 제시했다. 박 원장은 “대학과 연구원 그리고 기업이 서로 역할을 나눠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대, 사회적 편견 등이 그들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적성에 맞는
길
이 아니라 다른
길
로 이끌 수 있거든요. 그들이 이 이 분야로 와서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정책을 개발하고, 그런 분위기가 형성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 나노 분야도 자연히 발전할 겁니다.” ●최만수 교수가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KIST)에서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꾸준히 연구해온 인물이다. 순수 연구자의
길
을 걷던 사람이 산업통상자원부(지식경제부)의 기업나노지원사업인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을 맡게 된 이유에 대해 그는 담담하게 설명했다. “연구자로 있으면서 연구자에게 상용화까지 고민하게 해선 안 된다는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미시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전자가 이런 식으로 제
길
을 벗어나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반도체의 집적도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릴수는 없다는 뜻일까? 집적도가 올라갔을 때 산화물 반도체가 전자를 가두지 못하는 이유는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