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 두눈 사이의 뿌연 조각 구름, 프레세페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수 있다. 또 특별히 아름다운 모습을 한 NGC2903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작은 망원경으로 은하들의 희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게자리에서 특별히 밝은 별은 없다. 쌍둥이와 사자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이 놈은 거꾸로 선 Y자를 이루는데, Y자는 두 집게발과 두 개의 큰 눈, 그리고 한 쪽 ...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은하가 확인된 70년 전에 비하면 지금 우리는 너무 많이 알고 있다. 분명한 것은 거대 은하에서도, 지상에서 보여지는 나선구조가 별의 탄생과정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자연 속의 좌 우인동(忍冬) 덩굴은 반드시 우측으로 감아 올라 간다. 나팔꽃의 덩굴은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많은 고둥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보인다. 1993년에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M82는 불규칙 은하 중 가장 밝은 것으로(마젤란 은하 제외)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오히려 M81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데, 희미한 빛덩이가 동서방향으로 늘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2백㎜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중심 부근의 얼룩을 관측할 수 있다. ③ 새벽의 동쪽 ... ...
- 우주나이 80억년, 새 표준모델 필요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수정을 가해야 한다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니면 현재의 항성 진화모형과 은하의 진화모형이 전혀 틀릴 수도 있다. 아직은 그 진위를 밝힐 만큼 관측결과가 충분하지 않지만, 우주론자들이 이 점에 관해 계속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30여년간 이룩해 놓은 우주론이 오리무중 상태에 있다는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곳에서 희미한 9등급의 별처럼 보이는 것이 M32(NGC 221)이고, 북서쪽 1˚쯤 되는 곳에 보이는 은하는 M110(NGC 205)이다. ④ 별똥별1994년 12월 6일 새벽, 지리산 성삼재 Pentax K 1000, 50㎜ (f2), 필름 provia 100, 고정 촬영 10분아침 여명이 밝아올 무렵 두 개의 유성이 카메라의 시야 속으로 ...
- 내부은하 공간 얇은 헬륨이온구름 발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년대 고립돼 있는 은하 크기의 수소구름을 발견하기도 했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은 내부은하 공간에서 아주 얇은 이온화된 헬륨 안개를 발견했다.유럽우주기구(ESA)의 덴마크 천문학자 야콥센이 이끄는 연구그룹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1백억 광년 이상) 천체인 퀘이사로부터 오는 빛 중 ...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있어야 하는 질량이란 별이나 은하들의 관측된 운동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추산된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대부분의 물질을 암흑물질(dark matter)이라고 부르는데 천문학자들은 아직까지 그 정체도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우주에서 흔히 발견되는 물질분출현상들, 예를 들어 전파 은하, 퀘이사(quasar), 활동하는 은하핵(active galactic nuclei)등에서 뿜어나오는 물질흐름은 바로 우주공간 여러 곳에서 일어난다는 물질과 공간 창조의 현상으로 볼 수 있다(이 현상들에 대한 정설은 물질의 분출이 이 천체들 중심에 있는 ...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엔트로피든 결국 궁극적으로 우주공간에 방출한다. 삼라만상 모든 것, 지구나 항성, 은하등에서 발생되는 모든 엔트로피 증가는 결국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런 엔트로피의 증가에 대한 우주의 반응은 무엇일까? 정상우주론(Steady State Cosmology)을 제창한 영국의 ... ...
- 허블 관측결과 M87은 거대블랙홀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천문학자 그룹은 허블망원경을 사용해 지구로부터 5천만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은하단에 있는 M87의 중심영역을 관측 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가스원반을 발견했다. 이는 M87의 중심으로부터 60광년 거리에 있고 초속 7백50㎞로 회전하고 있음이 발견됐다.이 고속회전으로부터 연구팀은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