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구동토 장례식] R.I.P. 얼음, 이곳에 잠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KOPRI-NPI 극지연구 협력센터장), 정수종(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김민철(극지연구소 극지생명과학연구부 연구원), 아모스 카펠(자유유럽방송 사진 기자 ... ...
- 영구동토, 수십년 째 '핫'해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년간, 영구동토층은 계속 따뜻해지고 있어요. 2019년 1월,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극지해양연구소 보리스 비스카본 연구원팀은 영구동토층 154곳의 땅속 온도 변화를 분석했어요. 전세계 과학자들이 1980년대부터 영구동토층의 변화를 관찰하는 ‘국제 영구동토층 네트워크’를 만들어 1000여 곳의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연구위원이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미지의 암흑물질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암흑물질의 후보인 액시온을 연구하고 있다. swyoun@ibs.re.kr 용어정리 * 표준모형 (Standard Model) : 자연계를 이루는 기본입자 12개와 이들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낙관했다. “엉뚱한 상상은 미래의 현실이 된다”윤효정 LG화학 기술연구원 배터리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는 청소년들을 위해 꿈을 꾸는 방법에 대해 얘기했다. 윤 책임연구원은 고등학교를 마치고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로 진학해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한번 고마움을 전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29년 설립된 미국의 잭슨연구소는 실험용 쥐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대표적인 연구소예요. 연구소에선 순종 쥐의 족보를 관리하고, 유전자가위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해 유전자변형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나선팔에서 새로운 별의 요람을 발견했다. 후앙 알베스 미국 하버드대 래드클리프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이 2013년 발사한 가이아 위성이 수집한 자료로 우리은하의 3차원 지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지구에서 약 500광년 떨어진 초대형 가스 구조물을 발견했다.초대형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에블린이 바이러스로 자신을 파괴하려 한다는 사실까지 알아채죠. 테러 단체와 정부는 연구소를 공격합니다. 포격을 가해 윌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을 파괴합니다. 그 과정에서 에블린도 치명적인 부상을 입습니다. 평소대로라면 쉽게 에블린을 치료할 수 있는 윌이지만, 전력이 충분하지 ... ...
- [한페이지 뉴스] 외계행성 19개 화학조성 보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예측에 훨씬 못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루이스 웰뱅크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연구소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크기와 온도가 다양한 19개 외계행성을 5년간 관측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외계행성의 분광 데이터를 분석해 각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연구가 재미있는 일이라는 걸 처음 알게 됐습니다. 그 선생님의 영향으로 방학 때 연구소에서 하계 프로그램도 들었습니다. 이때 제 생애 처음으로 연구라는 걸 경험했죠. 생물학과 유전학이 유독 재미있었고, 그때부터 이 분야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의 관심이 이어져 하버드대 재학 시절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