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어제까지는 비말 감염이라더니 오늘은 공기 중으로도 전파가 된다고? 2월 18일 기준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자가 7만 명을 넘었습니다.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 수의학과 교수, 이동한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총괄과장,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방법은 대학원 시절 출판한 논문 목록을 담은 이력서를 관심있는 대학의 교수나 연구소의 e메일로 전송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했더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등이 박사후연구원 자리를 제안했다. 나는 2011년 3월 나노과학 소재 분석 전문가인 시앙펑 두안(Xiangfeng ... ...
- 상상이 현실이 된다! 스타워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통신수단, 홀로그램Part3. 스타워즈 두 개의 태양을 찾아서 ★ 도움유석재(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 최지훈(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디스플레이 연구실 연구원), 이재우(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그룹장), 전홍식(SF 판타지 도서관 관장), 김곤호(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임용준 ... ...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9일 오전 10시 30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위치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한 건물 안. 한국 나이로 열두세 살쯤 됐을까. 한 무리의 미국 학생들이 손을 들고 질문을 쏟아내고 있었다. JPL이 운영하는 무료 견학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이었다. 그들이 유리창 너머로 보고 ...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 날아온 운석으로 알아낸 화성 나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걸쳐 원시행성이 된 것으로 계산됐다. 연구를 주도한 시모네 마르키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화성의 매우 일부분에 불과할 수 있는 몇 개의 운석만 분석해서 그동안(화성의 형성 시기가) 잘못 알려진 것 같다”며 “화성 샘플 채취가 가능해지면 화성의 진화에 대해 더욱 정확히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우선 코로나바이러스에 유전적으로 변이가 생겼을 가능성이다. 중국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팀은 중국 남부 윈난성 지역의 동굴에 서식하는 박쥐에서 바이러스를 채취해 2011년부터 5년간 지속적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박쥐 코로나바이러스(SARSr-CoV)가 인간을 감염시키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를 ... ...
- “지구에서 화성을 탐사하는 즐거움 느껴보세요”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계획을 추진 중인, 전 세계 최고의 우주기술 연구기관이 바로 NASA다. 전인수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우주환경그룹장은 NASA 10개 연구센터 중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위치한 JPL에서 20년 동안 일하며 행성 탐사 연구를 이끌어왔다. 2003년 화성에 쌍둥이 로버(스피릿, 오퍼튜니티)를 보낸 ‘MER ...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합성 영상을 만든겁니다. 2 눈 감은 사진을 인생사진으로! 2018년 페이스북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갠을 이용해서 ‘인생사진’을 만드는 기술도 개발했습니다. 누구나 사진을 찍을 때 눈을 감아 아쉬웠던 경험이 있을 텐데요, 자동으로 감은 눈을 뜨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오바마의 입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강국이었다면 앞으로는 기술력이 있는 나라가 에너지 강국이 될 거예요. 현재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에서 미국, 유럽,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와 함께 ‘ITER’라고 하는 국제 공동 핵융합연구시설을 개발하고 있어요. 2025년에 완공하여 연구를 시작할 계획인데, 훗날 독자 ... ...
- [과학뉴스] 2600년 된 뇌, 썩지 않은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썩지 않고 잘 보존돼 있어 미스터리로 남아있었지요. 1월 8일, 영국 런던퀸스퀘어신경학연구소 액셀 페졸드 박사팀은 뇌가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냈다고 밝혔어요.연구팀은 미스터리 뇌가 다른 뇌와 달리 뉴런과 아교세포 사이에서 뼈대 역할을 하는 안정적인 특정 단백질이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