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적용하는 필수 지표로 사용하기는 어렵다”며 “주요 국가의 평균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
수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궁극적으로는 동료평가 방식 등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야.”“그쵸? 발견한 사람들이 원래는 『네이처』지에 ‘지옥구더기’라는 제목으로
논문
을 내려고 했대요. 거절당했지만요. 하여튼 유머감각이 좀 없다니까요.” “지옥구더기?”“성경에 나와요. 마가복음이었나? 지옥에는 불도 안 꺼지고 구더기도 안 죽는다고…….”지옥에 생명체가 산다고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경상 선임연구원은 “최근 4년간 발표한
논문
중 본인이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논문
5개를 중심으로 작성한다”며 “나머지는 대부분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계획과 비전”이라고 설명했다. BSC 위원 두 명이 대표로 서면 평가를 하고 나면, BSC 위원 16명 전원이 직접 연구실을 방문해 현장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평생 연구할 수 있는 분야를 찾다가 1999년부터 단백질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장익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전공석좌교수는 물리학으로 박사학 ... 신호가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위
논문
으로 준비 중이다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졸업한 뒤 줄곧 일본에서 연구해 온 일본의 대표적인 화산학자 중 한 명이다. 특히 그는
논문
당 피인용 횟수 기준으로 세계 8위에 오른 화산 학자다(2000~2010년). 2004년에는 10여 년 동안 가설로만 존재하던 백두산 지하의 거대 열구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자오 교수는 “단언할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존재로 ‘이기적 유전자’에서 새로이 해석됐다. 물론 이전에 살펴봤듯이, 해밀턴은
논문
에서 자기이론을 설명하면서 마치 유전자가 복제본을 많이 남기려는 의도와 목표가 있는 것인 양 종종 묘사하기는 했다. 이는 어디까지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려였을 뿐, 해밀턴의 초점은 유전자가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런 분위기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2014년 전 세계에서 발표된
논문
은 2007년에 비해 31.6% 늘었지만,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7.9%에서 5.8%로 줄었다. 대학의 R&D 예산은 고작 1.3% 늘었고, 고정적으로 편성되던 R&D예산은 최근 10년간 1%가까이 줄었다. 한국은 2014년 국내총생산(GDP) ... ...
[과학뉴스] 국제산불저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있다. 피인용지수(임팩트 팩터·Impact Factor)는 2.748로 그리 높지 않지만, 개별 연구자의
논문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영향력을 나타낸 ‘H-지수’가 67로 화재 관련 저널 중에서는 가장 높다 ... ...
[과학뉴스] 뽀로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술 전 아이들의 불안감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영국외과학회지’ 11월호 표지
논문
으로 발표했다. 연구팀은 소아환자가 수술실에서 느낄 공포와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뽀로로와 함께하는 VR 수술장 탐험’이라는 4분짜리 영상을 제작했다. 애니메이션 ‘뽀로로와 친구들’에 나오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함께 근무하는 동안 공동연구를 통해 생체시계의 작동 모델과 관련된 주요 연구
논문
들을 발표했다. 영 교수는 록펠러대에 재직하며 독립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브랜다이스대 팀과 치열한 경쟁 관계였다. 노벨상위원회가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한 인터뷰에서 영 교수는 “달리기 시합과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