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사용했다. 그는 거리가 100만광년 늘어날 때마다 후퇴 속도가 대략 160km/s씩 증가한다는
결과
를 얻었다. 이때 허블상수는 500km/s/Mpc(메가파섹, 1Mpc=106pc =106×3.26광년)였다.허블의 발견은 매우 큰 의미를 지녔다. 우리 은하계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므로 모든 방향으로 은하가 동일한 속력으로 멀어지고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도관(duct) 자체를 좁게 설계해, 터보제트에서 공기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한 것과 같은
결과
를 얻는다 램제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도 가벼워 마하 3∼4의 초음속 비행에서 효율이 좋아진다 그 반면 일정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른 엔진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소음이 크고, 연료가 많이 든다는 ... ...
한국 과학자들이 칭기즈칸 일족의 비밀 벗긴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사실을 알아냈다”고 설명했다.이 데이터는 6월 말 몽골국립대에 보내졌고 연구
결과
에 고무된 몽골국립대가 적극 초청해 이번 만남이 이뤄졌다. 한국조사단 측도 ‘겨우’ 뼈와 목관 한 조각씩에서 얻은 분석자료에 만족하기 어려웠다. 몽골국립대의 초청 소식에 한국조사단 모두 바쁜 ‘생업’을 ... ...
아기 블랙홀의 트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버로우 교수는 X선 우주망원경 ‘스위프트’로 지난 5월 에리다누스강 별자리를 관찰한
결과
감마선 폭발이 일어난 지 12분 뒤에 처음 폭발과 맞먹는 수준의 또 다른 X선 폭발이 일어난 것을 확인했다. 버로우 교수는 “갓 태어난 블랙홀이 밖으로 분출하는 물질을 다시 잡아먹다가 일어난 현상으로 ... ...
인도에 비 없는 여름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가지 상태가 있다”며 “인간의 잘못된 활동이 스위치를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육지에 닿는 햇빛이 크게 줄어들면 온도가 낮아져 계절풍의 흐름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크펠트 박사는 “인도 지역이 급격히 공업화되면서 미세먼지가 늘어나는 등 햇빛을 반사하는 양이 커지고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많기 때문에 우주비행사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
결과
에 의하면 우주에서 장기간 태양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인 암에 걸릴 가능성이 3% 증가한다. NASA가 달 기지 건설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NASA는 달 탐사를 통해 장차 화성에 인간이 발을 내딛는데 ... ...
자석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특정 분자에 어떤 신약 후보 물질이 결합하는지 실시간으로 알 수 있습니다.”이 연구
결과
는 지난 7월 1일 ‘사이언스’에 발표되자마자 주목받았다. 분자 간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는데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아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세포를 일일이 깨야하기 때문에 느리고 ... ...
3. '몸치' 탈출 특급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런던 대학 인지신경과학연구소의 패트릭 해거드 박사가 발레 댄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는 눈길을 끈다. 춤과 같은 어떤 숙련된 몸동작을 바라볼 때 그 몸동작에 익숙한 사람과 문외한인 사람의 뇌반응이 다르다는 것.어떤 동작을 직접 하거나 남이 하는 동작을 구경할 때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체세포를 얻어 복제 실험을 했다. 지금까지 여러 번 임신과 유산을 반복했지만
결과
는 실패였다. 백두산 호랑이 부활할까공일근 교수는 호랑이 복제에 앞서 같은 고양이과 동물인 삵(살쾡이) 복제에 도전하고 있다. 공 교수는 “호랑이 복제가 어려운 것은 서로 ‘속’이 다른 동물의 난자를 이용해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차갑다, 아프다 등 감각을 조절하는 기작과 이로 인해 감정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
결과
에 흥미가 있다.예를 들어 아이가 넘어져 아파서 울면 엄마도 똑같이 고통을 느낀다고 한다. 그런데 이 때 두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해보면 아이는 대뇌피질에서 물리적인 통증에 ... ...
이전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