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물이 위로 올라오는 용승류가 생겨 혼합층이 얇아지는 것이다. 아르고 플로트 자료 분석
결과
대부분의 수온 저하는 혼합층이 두꺼워지는 반응과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풍에 의해 해양의 수온이 떨어지는 것은 태풍이 증발과정을 통해 열을 빼앗는 정도보다 강한 바람에 의해서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지난 3월에는 더 정교한
결과
를 ‘미국 응용물리학회지’(APL)에 발표했으며, 최근엔 실험
결과
를 이론적으로 증명해냈다. 레이저로 적 탱크 찾아낸다레이저를 응용하는 분야는 다양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연구팀이 개발하고 있는 ‘3차원 영상 라이더’. 라이더(LIDAR, Laser Identification Detection and . ...
사라진 100원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원래의 3000원에 비해 1900원이 늘었다며 놀랄 사람이 있을까?원래의 문제는 엉터리 계산의
결과
가 3000에 가깝도록 절묘하게 금액을 설정해서 헷갈리게 하고 있을 뿐이다. 제대로 계산해 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이처럼 계산을 착각하는 일은 실생활에서도 드물지 않다.필자가 아는 A는 친구 B를 따라 ... ...
분자 모터가 액체를 움직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분자 수준의 움직임으로 거시적인 물체를 움직인 최초의
결과
”라고 설명했다. 이
결과
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호에 발표됐다.연구팀은 긴 막대 모양의 탄화수소 분자 주위를 유기분자 고리가 둘러싼 형태의, 빛에 민감한 나노 셔틀을 개발했다. 작은 입자들의 무작위적 움직임인 브라운 ... ...
콩이 암을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최근 발견한 건강법이다.영국 런던대 마르코 팔라스카 박사는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콩과 땅콩이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학술지 ‘암 연구’ 9월호에 발표했다.암세포가 커지거나 다른 곳으로 전이되려면 암세포에서 혈관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많은 과학자들이 암을 ... ...
폭설보다 무서운 아스팔트 염화칼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것으로 간주된다. 연구팀이 메릴랜드주를 비롯해 뉴욕, 뉴햄프셔주 일대를 조사한
결과
염소 농도가 무려 5000mg/L에 달했다.연구팀은 폭설이 올 때 도로에 뿌리는 염화칼슘이 시냇물로 스며들고 강이나 호수까지 흘러가는 것으로 분석했다. 염화칼슘은 염소와 칼슘으로 구성돼 있다. 카유샬 박사는 ... ...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방법을 개발했다. 이 세균은 수소와 과염소산을 먹고 물과 염소를 배출한다. 이 연구
결과
는 8월 29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서 발표됐다.먼저 얇은 막에 세균을 붙여 자라게 한 뒤 이를 말아 머리카락 두께의 끈으로 만든다. 이 끈을 원통형 다발로 만들어 그 안에 수소를 채운 다. 이렇게 만든 700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비해 질량은 1/300 밖에 되지 않으며, 크기도 목성 반지름의 1/10에 지나지 않는다. 그
결과
목성형 행성에 비교해 속도측정법에서 지구형 행성의 신호는 1/300배, 횡단관측에서는 1/100배에 불과하다. 지구형 행성을 찾으려면 현 관측기기보다 수백배 더 높은 정밀도를 갖춘 관측기기가 필요하다. 지구형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서울 전체의 7월 평균 풍속이 초속 2m인 점과 비교하면 느리지만 복원이 가져온 긍정적인
결과
임은 분명하다는 게 서울시측의 설명이다.야생이 돌아온다이런 바람은 열섬 완화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줄이는 역할도 톡톡히 해낸다. 서울시가 내놓은 청계천 복원 타당성 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복원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계산하고 해당 부분의 유전자 특성을 고려해 최종적인 유전적 거리를 얻는다.그
결과
왼쪽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비슷한 유전적 계통도를 그릴 수 있다. 이를 ‘분자계통분석법’이라고 한다.그러나 그는 “염기서열을 아주 정확하게 분석하지 않고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자가 1% 정도 다르다’고 ... ...
이전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다음
공지사항